[단독]여주 오곡축제에 중국군 행진 영상·중공기 논란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11월 3일 11시 36분


코멘트
여주 오곡나루 축제에서 중국 인민해방군(PLA) 깃발과 군복 인물이 등장한 영상이 상영돼 논란이 됐다. 재단은 “사전 검수 미흡이었다”며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해명했다. 사진=스레드(@dosj.snd)
여주 오곡나루 축제에서 중국 인민해방군(PLA) 깃발과 군복 인물이 등장한 영상이 상영돼 논란이 됐다. 재단은 “사전 검수 미흡이었다”며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해명했다. 사진=스레드(@dosj.snd)

2025 여주 오곡나루 축제 무대에서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가 휘날리고, 중국군이 행진하는 영상이 상영돼 논란이 일었다. 여주세종문화관광재단은 “영상 내용을 사전에 확인하지 못했다. 시정하겠다”고 밝혔다.

● “한국 축제 맞나요?”…중국군 영상 등장에 관람객 충격


2일 소셜미디어(SNS)에는 “여주 오곡나루 축제, 이게 맞는 건가?”라는 제목의 영상이 빠르게 퍼졌다.

영상=스레드(@dosj.snd)
영상=스레드(@dosj.snd)

영상에는 여주 도자세상 무대에는 군복을 입은 인물들이 줄지어 무대에 오르는 모습이 담겨있다. 무대 화면에는 중국군 행진 장면이 상영됐다.

특히 일반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五星紅旗)가 아닌 중국 인민해방군(PLA) 깃발이 사용된 점에서 비판 여론이 거셌다. 붉은 바탕에 황금빛 별과 함께 ‘8·1(八一)’ 문자가 새겨진 이 깃발은, 1927년 중국 공산당이 군사조직을 창설한 날짜를 기념하는 상징으로, 중국 공산당과 인민해방군을 대표하는 군사적 상징물로 여겨진다.

여주 오곡나루 축제에서 중국 인민해방군(PLA) 깃발이 사용됐다. 사진=스레드(@dosj.snd), 게티이미지뱅크

한 행사 참여자는 “한국 전통 축제인데 갑자기 중국 공연이 나와 충격이었다”며 “행사 취지에 대한 설명도 없었다”고 말했다.

해당 행사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2024년부터 오곡나루 축제 해외 방문 교류 프로그램으로 진행된 ‘한중 문화교류 경연대회’의 일환이었다. 중국 생활문화 관련 동아리 팀들이 방한해 한국 문화예술팀과 한 무대에서 교류하는 취지다.

● 재단 “리스트엔 전통 관련 목록만”…영상 검수 미흡 인정

여주오곡나루 축제에서 중국 군복을 입은 사람들이 공연을 하고 있다. 사진=스레드(@l.juni)
여주오곡나루 축제에서 중국 군복을 입은 사람들이 공연을 하고 있다. 사진=스레드(@l.juni)

여주세종문화관광재단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저희도 현장에서 처음 파악했다. 상황 대처 부분이 미흡했던 것 같다”고 해명했다.

관계자는 “한국관광공사 중국 칭다오 지사와 함께 진행한 행사다. 당시 받은 목록에는 합창이나 전통무용, 치파오 패션쇼 등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통 관련 무대인 줄 알았다. 축제 임박해 프로그램이 확정되다 보니 영상까지는 미처 확인하지 못했다”고 고개를 숙였다.

또 “앞으로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점검을 철저히 하고, 순수한 한중 문화예술 교류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 “문화 교류라지만 과했다”…비판 여론 확산

누리꾼들은 “휴전국가에서 공산당 행진 영상이라니”, “중국이랑 여주 오곡이 무슨 상관이냐”, “대한민국이 중국에 먹혔냐” 등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여주오곡나루축제#오성홍기#중국군행진#중국#반중#혐중#여주#무비자#축제#논란#여주세종문화관광재단#중국군#공산당#한중#한국관광공사#이슈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