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보복 나선 中에 ‘104% 관세’ 압박… 中 “끝까지 싸울것”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4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트럼프 관세 폭풍]
워싱턴 안팎 “무역적자 해소 넘어… 中과의 경제-안보 새판 짜기 의도”
中도 농산물 관세인상 등 추가 조치… 유럽은 보복보다 협상 기조로 전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뉴시스
“중국은 연간 5000억∼6000억 달러(약 730조∼880조 원)를 군사력 확충에 쓴다. 우린 그걸 원치 않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 시간) 중국이 대미(對美) 교역으로 번 돈을 군사력 증강에 투자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중국에 대한 고강도 관세 정책이 미국의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사안임을 강조하며 관세 부과 필요성을 역설한 것이다. 워싱턴의 외교 소식통은 “무역적자 해소를 넘어 중국과의 경제·안보 새판 짜기에 나서려는 의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만난 자리에서 “우리는 이전엔 ‘미국 우선(America First)’이 아닌, ‘미국 후순위(America Last)’였다. 그런 상황을 더는 용납하지 않겠다”며 중국을 정조준했다. 이어 “내가 집권 1기 초기 때 중국에 매우 강경하게 대응한 이유는 그들이 (미국과의 교역으로 번) 돈으로 군대를 키웠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조 바이든이 집권하자 중국은 완전히 제멋대로 날뛰었다”고 주장했다. 또 “중국과 잘 지내면 좋지만 그렇지 않아도 상관없다. 우리는 이런 상황이 이어지게 두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집권 1기 때인 2020년 중국과 체결한 ‘1단계 미중 무역합의’도 거론했다. 2020년부터 2년간 중국이 미국산 제품 수입을 2000억 달러 늘리고, 미국은 추가 고율 관세를 자제한다는 내용의 합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합의를 통해) 500억 달러어치 상품을 중국에 팔았지만 내가 원했던 협정은 그 이상”이라며 “완전히 폐쇄된 국가의 문을 여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이 미국에 부과하기로 한 34%의 보복 관세를 8일까지 철회하지 않으면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다. 2월 1일과 27일에 각각 10%씩 부과한 20% 관세와 34% 상호 관세에 50% 관세까지 더해지면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만 104%의 관세가 중국에 추가 부과되는 것이다.

미국이 이처럼 글로벌 패권 경쟁자인 중국에 관세 공격을 집중하는 건 예고된 수순이란 평가도 나온다. 주가 폭락과 인플레이션 우려 등이 겹치며 책임론이 불거지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중국을 타깃으로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다는 것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신화 뉴시스
미국의 전방위 관세 압박에 중국은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중국 상무부는 8일 담화문에서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높이겠다고 위협하는 건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미국이 고집대로 한다면 반드시 끝까지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대한 보복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는 것도 시사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중국은 최소 6가지 카드를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는 미국산 농산물 관세 대폭 인상, 미국산 영화 수입 축소 및 금지, 펜타닐 관련 협력 중단 등이 포함돼 있다.

한편 미국이 중국에 관세 폭격을 집중하는 등 ‘갈라치기’에 나서면서 유럽은 보복보다는 협상 우선 기조로 방향을 잡았다. 유럽연합(EU)은 7일 모든 공산품에 걸쳐 대미 관세 철폐를 제안한 사실을 공개하며,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260억 유로(약 42조 원) 규모의 보복 관세 축소를 예고했다.

#글로벌 패권 경쟁#미국#중국#트럼프 대통령#고강도 관세 정책#보복 관세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