팅갈 민타 마프? 한글이 암호 됐다…인니 젊은세대 저항의 무기로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9월 17일 06시 00분


코멘트
사진=SNS
사진=SNS

인도네시아에서 정부 검열을 피해 젊은 세대가 한글을 ‘암호’처럼 활용하며 반정부 목소리를 내고 있다. SNS 게시물이 차단되자, 현지 청년들은 인도네시아어 문장을 한글로 옮겨 쓰며 검열망을 피하는 새로운 방식의 저항에 나섰다.

지난달 25일부터 인도네시아에서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당국은 온라인에서 정부를 비판하는 게시물을 삭제하거나 차단하는 등 SNS 검열을 강화했다.

■ “사과하고 국민 말을 들어라”

인도네시아 젊은이들이 SNS 검열을 피해 한글로 인도네시아어를 표기하며 정부를 비판하고 있다. 이른바 ‘한글 암호’는 빠르게 확산하며 온라인 저항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사진=게티이미지, 뉴시스)
인도네시아 젊은이들이 SNS 검열을 피해 한글로 인도네시아어를 표기하며 정부를 비판하고 있다. 이른바 ‘한글 암호’는 빠르게 확산하며 온라인 저항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사진=게티이미지, 뉴시스)
그러자 젊은이들은 인도네시아어 문장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식을 고안해냈다. 한글 암호는 MZ 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며 온라인 시위 도구로 자리 잡았다.

예를 들어 “tinggal minta maaf terus dengerin rakyat apa susahnya(계속 사과하고 국민 말을 좀 들어라)”라는 인도네시아어 문장을 ‘팅갈 민타 마프 테루스 덴게린 라키야트 아파 수사냐’처럼 한글로 옮기는 식이다.

■ 억압할수록 더 창의적으로 변해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청년들은 단순 표기에 그치지 않고 글자 배열을 변형하거나 은어·줄임말을 섞어 쓴다. 발음은 알아들을 수 있어 소통이 가능하지만, 기계 검열은 회피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에 정부는 전담 해석팀까지 꾸렸지만, 10~20대 이용자들이 매일 새로운 방식으로 게시물을 바꾸면서 대응에 난항을 겪고 있다. 하루에 수만 건의 게시물이 올라오며 통제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 분노 키운 건 ‘국회의원 수당’과 비극적 사고

시위는 국회의원에게 월 5000만 루피아(약 420만 원)의 주택 수당이 지급돼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작됐다. 이어 국회의사당 인근에서 한 배달 기사가 경찰 장갑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며 분노가 확산됐다.

현지 시민들은 “정부가 국민을 억압하고 기득권만 챙긴다”며 거리와 온라인에서 동시에 항의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시위#SNS 검열#한글 암호#인도네시아 청년#반정부 시위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