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약물 과용 NO! …정신질환 사망 원인 1위는 심장병”

  • 동아닷컴

코멘트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우울증, 불안장애, 조현병, 양극성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같은 심각한 정신 질환을 앓는 사람들은 자살이나 약물(처방약, 마약, 알코올 포함) 과용보다 더 많이 생명을 앗아가는 숨은 위협에 직면해 있다. 바로 심장과 혈관 질환이다.

정신적 건강 이상을 겪는 성인은 심혈관 문제로 인해 동년배보다 기대수명이 10~20년 짧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제 학술지 랜싯 지역건강-유럽(Lancet Regional Health-Europe)에 실린 국제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은 심장질환 위험을 72% 높이고, 조현병은 이를 거의 두 배인 95%까지 끌어올린다.

양극성 장애는 심혈관 질환 위험을 57%,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관상동맥 심장 질환 위험을 61% 증가시키며, 불안장애는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41% 높인다.

이처럼 높은 심혈관 질환 위험에도 불구하고 정신 질환자들은 일반인보다 심혈관 치료를 받을 기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연구자들은 정신 건강 문제와 심혈관 질환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악순환을 만든다고 지적한다.

정신 건강 질환은 흡연율 증가, 신체활동 감소, 불균형한 식습관 같은 심장 건강에 해로운 행동을 유발한다. 생물학적으론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들 질환과 관련된 만성 스트레스는 염증 증가, 혈압 상승, 불규칙한 심장 박동, 인슐린 처리 장애 등 신체에 해로운 방향으로 변화를 일으킨다. 반대로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같은 심혈관 사건을 겪으면 전에 없던 정신 건강 문제가 나타나기도 한다. 즉, 심장과 마음은 양방향 관계에 있는 것이다.

이 관계가 역으로 나타나는 결과를 살펴보면, 심혈관 질환 환자의 약 18%가 우울증을 앓고 있는데, 심근경색 같은 급성 사건 이후에는 그 수치가 28%로 높아진다. 뇌졸중 생존자의 4명 중 거의 1명이 후유증으로 우울증을 겪으며, 심장마비 생존자의 약 12%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을 받는다.

이에 연구자들은 정신 건강과 심혈관 질환을 함께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 연구논문 주소: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epe/article/PIIS2666-7762(25)00165-6/fulltext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