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치료제 위고비가 술 취기와 갈망을 완화하는 효과를 보였다는 미국 연구가 발표됐다. GLP-1 약물이 알코올 흡수를 늦추는 새로운 작용 원리로 주목받는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비만 치료제로 잘 알려진 위고비(Wegovy)의 주성분이 알코올 흡수를 늦춰 알코올에 대한 갈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존 알코올 의존 치료제와는 전혀 다른 신경 외적(말초) 메커니즘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 GLP-1 복용군, 호흡 알코올 상승 속도 느려
15일 미국 버지니아공대 의학연구소 연구진은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에서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계열 비만치료제가 알코올의 혈중 흡수 속도를 늦춰, 취기와 갈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절반은 GLP-1 약물을 복용 중인 실험군, 나머지는 비복용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참가자들은 금식 상태로 연구소를 방문해 동일한 스낵바를 섭취한 뒤 혈압·맥박·혈당·호흡 알코올 농도(BrAC)를 측정했다.
이후 알코올 음료를 10분 내에 마시게 하고 60분 동안 세 차례에 걸쳐 호흡 알코올 농도와 ‘얼마나 취한 것 같은가’(0~10점 척도)를 자가 보고하도록 했다.
그 결과 GLP-1 복용군의 호흡 알코올 농도 상승 속도가 뚜렷하게 느렸고, ‘덜 취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비복용군보다 높았다.
● 위 배출 늦춰, ‘취기·갈망’ 완화하는 작용 원리
연구팀은 “GLP-1 계열 약물이 위에서 알코올이 혈류로 이동하는 속도를 늦춰, 결과적으로 취기와 알코올에 대한 갈망을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알렉스 디펠리시안토니오(Alex DiFeliceantonio) 교수는 “와인 한 잔을 천천히 마시는 것과, 위스키 한 잔을 단숨에 들이키는 건 전혀 다르다”며 “두 경우 모두 알코올 함량은 같지만 혈중 농도 상승 속도 차이로 인해 뇌의 반응이 달라진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GLP-1 약물이 이런 속도를 늦추면 알코올의 뇌 작용 자체가 완화돼 술을 덜 마시게 만드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 기존 알코올 치료제와는 ‘다른 메커니즘’
기존 알코올 의존 치료제인 날트렉손(naltrexone)과 아캄프로세이트(acamprosate)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뇌의 보상 회로를 직접 억제한다. 반면 GLP-1 계열 약물은 위 배출 지연 등 말초 대사 경로를 통해 알코올 섭취를 간접적으로 억제한다는 점이 다르다.
연구진은 “이는 알코올 의존 치료에서 ‘대사 조절’이라는 새로운 접근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뇌신경계 부작용이 적은 대체 치료 전략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소규모 예비 연구지만… 임상 확대 발판 될 것”
이번 연구는 참가자 수 20명에 불과한 소규모 예비 연구(pilot study)로, 연구진은 한계점을 인정하면서도 “두 그룹 간 명확한 차이가 확인된 만큼 향후 대규모 임상시험의 설계와 개발을 위한 핵심 초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GLP-1 약물의 무분별한 사용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위고비를 초기부터 고용량으로 투약할 경우 구토·복통 등 위장 장애와 함께 급성 췌장염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반드시 의사의 처방과 용량 지침을 따라야 한다”고 당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