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 새 300명 예약취소”…무안공항 폐쇄에 여행업계 ‘직격탄’

  • 뉴스1
  • 입력 2025년 1월 1일 07시 47분


코멘트

광주·전남 900여 업체 운영 중…위기 고조
“코로나19 딛고 모처럼 활기 되찾았는데”

31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2024년 마지막 해가 지고 있다. 2024.12.31/뉴스1 ⓒ News1
31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2024년 마지막 해가 지고 있다. 2024.12.31/뉴스1 ⓒ News1
“코로나19 위기상황을 견뎌내고 모처럼 여행업계가 활기를 되찾았는데 이게 웬 날벼락입니까.”

1일 오전 광주 서구에서 만난 한 여행업체 대표 A 씨는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지난달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참사로 오는 7일까지 무안공항 폐쇄가 지속되면서 예약했던 해외여행 취소가 줄을 잇기 때문이다.

A 씨는 “제주항공 참사가 발생한 이후부터 사흘 동안 예약한 해외여행을 취소한 사람이 300명에 이른다”며 “최소 한명당 150만 원을 계산하면 금액으로 4억 5000만 원이다”고 토로했다.

A 씨가 운영하는 여행사는 무안공항에서 출발하는 해외특가상품을 집중적으로 운영하면서 이번 사고가 발생한 태국 방콕을 비롯해 파타야, 푸꾸옥, 타이베이, 일본, 라오스 등 다양한 여행상품을 취급해 왔다.

특히 무안국제공항 개항 이후 17년 만에 처음으로 지난달부터 매일(데일리) 무안에서 일본 나리타, 오사카, 대만 타이베이 국제선과 제주 노선이 운항을 시작하면서 무안공항 출발 해외여행은 더욱 활기를 띤 상황이었다.

A 씨는 “겨울철로 접어들면서 해외 골프여행객도 많았고 연말연시, 겨울방학을 맞아 최대 성수기인데 완전히 직격탄을 맞게 됐다”고 전했다.

이같은 어려움은 광주와 전남에서 영업 중인 900여 개 업체가 비슷한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행사들은 무안공항 대신 인천국제공항이나 김포공항, 김해공항 등지서 출발하는 여행상품으로 권장하고 있지만 무안공항의 정상화가 기약없는 상황이라 여행업계의 피해는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여기에 새해부터 여행사 등 13개 업종이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으로 새로 지정되면서 여행업계의 경영난을 더욱 압박하고 있다.

2025년부터 여행업종은 10만 원 이상 거래 시 소비자가 발급을 요구하지 않아도 현금영수증을 의무 발급해야 한다. 국세청은 자영업자 세원투명성을 확보하고 공정한 시장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2005년부터 현금영수증 제도를 도입했다,

A 씨는 “코로나 위기를 힘겹게 버텨 온 여행업계가 다시 수렁에 빠졌다”면서 “정부차원의 지원책 마련도 시급하다”고 당부했다.

(광주=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