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이글’ 폭염에 뇌도 위험하다….여름철 ‘뇌졸중 ’주의보

  • 뉴시스(신문)

코멘트

여름철, ‘혈전’ 형성 위험성 높아져
혈전 형성시 뇌경색·뇌출혈 위험↑
수분 섭취하고 실내외 온도차 낮춰야

뉴시스
최근 예년보다 더욱 기승을 부리는 폭염으로 건강에 빨간불이 켜졌다. 여름철에도 겨울철만큼 뇌졸중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5일 의료계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지면서(뇌출혈) 뇌가 손상되는 질환으로, 단시간 내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하거나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여름철에는 체온이 상승하고 땀을 많이 흘리면서 체내 수분이 부족해지기 쉬운데 이로 인해 혈액 점도가 증가해 혈전(피떡) 형성 위험도 높아진다. 이렇게 형성된 혈전이 뇌혈관을 막으면 ‘뇌경색’이 발생하고, 반대로 좁아진 혈관이 높은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터질 경우 ‘뇌출혈’로 이어질 수 있다.

또 냉방이 강한 실내에서 무더운 외부로 갑자기 나가거나, 반대로 더운 바깥에서 실내로 들어올 때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 차도 뇌졸중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이다. 이런 변화는 교감신경을 자극해 혈압을 급격히 상승시키고, 혈관을 수축시켜 뇌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김태경 강남나누리병원 뇌신경센터 부장(신경과)은 “여름철에는 고온과 탈수로 인해 뇌혈류의 자율 조절 기능이 저하되기 쉬운데, 이로 인해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뇌경색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며 “고혈압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기온 변화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여름철 뇌졸중 발생률이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말이 어눌해지거나 한쪽 팔다리에 갑작스럽게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며 “뇌경색은 치료 시점이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환자 본인은 물론 주변인의 빠른 인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여름철 뇌졸중을 예방하려면 무엇보다 체온 조절과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하다. 낮 시간대에는 불필요한 야외 활동을 줄이고, 되도록 실내나 그늘에서 머무는 것이 좋다. 실내 온도는 25~28도로 유지하고,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사용할 때는 바람을 직접적으로 맞는 행동을 피해야 한다. 특히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은 평소 약물 복용과 건강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뇌졸중은 한 번 발생하면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질환이다. 조기 진단과 빠른 치료, 그리고 평소 생활 속 예방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