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이 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특별검사 이명현)으로 참고인 조사를 위해 출석하고 있다. 2025.8.5. 뉴스1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 등이 사용하던 비화폰 통신 기록을 대통령경호처로부터 확보했다고 5일 밝혔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서울 서초동 특검사무실에서 연 브리핑에서 “특검은 최근 대통령경호처로부터 윤 전 대통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등의 비화폰 통화내역을 제출받아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비화폰 실물을 확보했는 지 여부에 대해서는 “2023년 7∼8월 비화폰으로 연락을 주고받은 내역을 확보한 것”이라며 “이들이 이 시기에 서로 주고받은 연락은 일부 확인됐다”고 했다.
특검팀은 비화폰 통신기록을 토대로 윤 전 대통령이 채 상병 사건 기록 회수에 관여했는지를 들여다보고 있다.
특검팀은 또 김건희 여사가 사용하던 비화폰 실물도 확보한 상태다. 해당 비화폰은 초기화된 상태로 알려졌다.
정 특검보는 “김 여사가 사용하던 비화폰은 한 대로 파악하고 있고, 이미징 포렌식을 통해 삭제된 내용을 복구할 수 있을지 시도해 봐야 하는 상황”이라며 “최근까지 사용한 것으로, 김 여사가 마지막까지 사용했던 비화폰”이라고 밝혔다.
앞서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등이 개인 휴대전화와 비화폰을 수시로 번갈아 가며 사용한 정황을 확인했다.
한편 특검팀은 전날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도피성 출국 의혹 수사의 일환으로 윤석열 정부에서 법무부·외교부 장·차관을 지낸 주요 인사들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였다.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과 장호진 전 국가안보실장(전 외교부 1차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심우정 전 검찰총장(전 법무 차관), 이노공 전 법무 차관 등이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특검팀은 6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정 특검보는 “구치소에다가 통지는 했고, 지금 저희 사건 관련해선 변호사 선임계가 제출돼있지 않다”며 “아직 (출석 여부에 대해) 회신받은 바가 없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또 채 상병이 속한 부대의 지휘관이었던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피의자로 7일 소환해 2차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박성진 기자 psji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