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 복날의 상징 ‘보신탕’…1950년대부터 비문화적 평가 [청계천 옆 사진관]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19일 13시 00분


코멘트

백년사진 No. 122

내일 일요일은 초복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신가요? 초복, 중복, 말복으로 나눠지는 삼복(三伏)은 해마다 돌아오는 가장 더운 시기이자, 한 해의 절반을 지나 후반으로 넘어가는 전환점입니다. 사람들은 무더위를 이기고 몸을 추스르기 위해, 음식과 휴식을 통해 나름의 방식으로 이 시기를 견뎌왔습니다.

이번 주 백년사진이 고른 사진은 100년 전 초복날을 맞아 약수터에서 물을 마시는 시민들 풍경입니다. 삼계탕이나 보신탕 가게에 몰려 있는 인파가 아니라 약수터에 몰려 있는 시민들의 모습이 이채롭습니다. 복날에 대한 시선이 지금과는 사뭇 다른 옛날로 한 번 돌아가 보겠습니다. 매일신보의 1925년 7월 16일자 2면에 실린 사진입니다.

<초복날과 약물터> 15일날은 초복날이었다. 해마다 전례에 의하여 시내 시외 각처의 약물터에는 물 먹으러 가는 손이 있었으나 마침 장마 끝이요 겸하여 가는 비가 오락가락하여 매우 한산하였었다.


사진과 같은 날인 1925년 7월 15일자 동아일보 기사를 보시겠습니다.

今日은初伏

복날이란 절기로 보면, 음기가 양기에 눌려 잠복하는 것을 말한다.
이 삼복이 지나가면, 차차 눌려 있던 음기는 양기의 세력을 뚫고 나와 생기가 살아난다.
비유해 보면, 어떤 힘이 조용히 숨어 있다가 장차 나올 때를 준비하며 희망을 키우는 것과 같다.

중국 양휘(楊煇)의 전기에 보면, 농사짓는 사람들이 고생을 하다가 복날이나 납일(臘日, 섣달 그믐 무렵)에 이르면 양이나 염소를 잡아 술과 함께 마시며 스스로를 위로했다는 말도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숨이 막힐 듯한 더운 볕 아래서 땀을 흘리며 일하는 농사꾼들에게 있어,
지금쯤이면 보리도 다 익었으니 하루쯤 즐겁게 쉬고 노는 것도 좋을 것이며,
또한 그것이 사람의 정이기도 하다.

복날에 흰죽과 개고기를 먹는 것도 다 양기를 돋우려는 치열감(治熱感, 더위를 이기려는 감각)에서 비롯된 것이니,
이것을 과학적으로 보면 어떤 의미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전해 내려오는 풍습으로 지내는 것을 그르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동아일보의 1925년 6월 23일자 기사에도 ‘악박골 물터’ 기사와 사진이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에는 꽤나 명소였었나 봅니다.

1925년 6월 23일자 동아일보에 소개된 악발골 약수터 전경 모습. 현재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어딘가의 모습이다.
사진에 등장하는 ‘악박골’은 현재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일대의 옛 이름입니다. 악박골 물터는 ‘라듸움’ 성분이 풍부해 일반 속병과 가슴앓이에 효험이 있다고 해서 여름 복날 뿐만 아니라 6월 유두일 등에도 시민들로 북적였었다고 합니다. 심훈의 소설 ‘상록수’에서도 이곳이 등장한다고 합니다.

궁금증이 하나 생겼습니다. 한 때 중·노년 남성들에게 복날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보신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어땠을까 하는 점 말입니다.

기사를 찾아보다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습니다. 생각보다 보신탕에 대한 혐오는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다는 점입니다. 복날과 관련된 기사를 몇 개 찾아보았습니다.

●1930년대의 여름나기 — 영양과 낮잠, 그리고 ‘여름 타는 사람들’

1933년 7월 13일자 동아일보는 복날을 맞아 여름철 건강관리에 대한 조언을 상세히 전했습니다. 기사에서는 특히 더위로 식욕이 떨어지는 사람들, 선천적으로 체질이 약한 어린이, 그리고 여름철 피로감을 호소하는 대중을 위해 수면과 영양 보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뱀장어나 연어 같은 기름진 생선, 보리밥과 현미밥, 신선한 채소와 과일이 추천 식품으로 등장하며, ‘한낮의 낮잠’도 휴양의 방법으로 언급됩니다. 이 시기 복날은 단순히 개고기를 먹는 날이 아니라, 여름을 견디기 위한 종합적이고 실용적인 생활 건강 지침과 맞물려 있었습니다.

●1934년 — 조선의 기후와 삼복의 과학적 관찰

1934년 7월 23일자 기사는 ‘조선의 여름과 더위’를 주제로, 한반도의 기온 상승과 복날의 기후적 의미를 통계와 함께 설명합니다. 조선의 여름은 지역별로 3개월에서 5개월 반까지 지속되며, 가장 더운 시기[酷暑期]는 7월 하순에서 8월 중순 사이였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이 삼복 기간은 단지 민간신앙의 산물이 아니라 실제로 한반도 전역이 고열에 시달리는 기후학적 절정기였습니다. 대구는 매년 최고기온을 경신하며 ‘조선의 더위의 종가(宗家)’로 불렸습니다. 이 글은 복날을 이해하는 데 있어 문화적·기후적 근거가 모두 작용했음을 보여줍니다.

●1937~1938년 — 복날과 보신탕, 그리고 농민의 고비 넘김

1937년 7월 9일자 기사와 1938년 7월 20일자 기사에서는 복날의 문화적 풍속과 음식이 구체적으로 언급됩니다. ‘구탕’(개장국)은 이열치열로 몸을 보하는 대표적인 음식이었으며, 특히 농민들에게는 더위로부터 회복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도 담겨 있었습니다.

1937년 기사에서는 개고기를 먹는 다양한 민간요법이 소개되는데, 개의 간이나 쓸개, 젖 등을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거나 술을 끊는 데 쓴다는 전설까지도 전합니다. 개장국에 마늘을 많이 넣는 것을 경계하는 조언도 실렸지만, 이 역시 건강을 위한 궁합의 차원에서 해석됐습니다.

1938년 인천에서는 복날을 ‘더위를 쫓는 날’로 삼고 개장국을 먹는 전통이 이어졌으며, 이날은 애써 기른 벼가 한 마디씩 자라는 농사의 중요한 기점이기도 했습니다. 단순히 보양을 넘어 공동체의 생존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의적 의미까지 함께했습니다.

●1954년 — ‘보신탕은 비문화적’이라는 시선의 등장

그러나 1954년 7월 13일자 동아일보에는 이전과는 뚜렷하게 달라진 문장이 등장합니다. 이날 초복을 맞아 보신탕에 대한 전통을 언급하면서도 “올해는 비문화적이라는 탈을 쓰고 개장국은 쥐구멍 신세요!”라는 표현이 실렸습니다. 이는 단순한 식문화가 아닌 사회적 시선과 가치 판단이 개입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 기사에서 ‘보신탕은 비문화적’이라는 인식이 등장합니다. 이전까지는 그 효능이나 속설, 조리 방식 등에 대한 긍정적·중립적 서술이 주를 이뤘던 데 반해, 이 기사에서는 개장국을 먹는 행위 자체가 부끄럽거나 퇴행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분위기가 형성되었음을 암시합니다. 당시 기사 원문은 이렇습니다.

▲고래로 우리나라에서는 이날이면 보신탕이라 하여 개장국을 먹고 농촌에서는 천렵(川獵)이 성행되었건만 올해는 비문화적이라는 탈을 쓰고 개장국은 쥐구멍 신세요! 쇠고기 돼지고기 값은 껑충 뛰어 올라 농가에선 냄새조차 맡을 수 없는 지경!
아마 광복 후 달라진 한국 사회의 정체성과 서구화된 위생 개념의 확산, 도시인들의 생활방식이 변화하기 시작한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입니다. 비문화적이라는 비판이 시작된 지 70여년이 지난 요즘 보신탕의 설 자리는 거의 사라졌습니다. 2024년 1월 ‘개 식용 금지법’(개의 식용 목적의 사육 도살 및 유통 등 종식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되었고 2027년부터 개고기의 제조와 유통이 전면 금지됩니다. 그나마 ‘영양탕’ 이름으로 유통되던 보신탕은 이제 식당 메뉴에서 영원히 사라지게 됩니다.

오늘은 100년 전 복날을 맞아, 지금은 사라진 약수터에서 건강한 물을 마시려던 시민들의 풍경을 보면서 여름나기의 방식이 변하고 있는 것을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이번 주 백년사진은 소재를 고르는데 애를 먹었습니다. 100년 전 한반도는 ‘을축 대홍수’로 큰 고통을 겪었습니다. 1주일 치 신문 전체가 수해 상황을 보도하는 사진으로만 채워졌습니다. 당시 수해 피해 상황과 이재민들의 모습은 지난 주 “백년사진 No. 121
인사동, 폭우의 기억…널빤지와 냄비로 지켜낸 마루” 포스팅에 소개했었습니다. 아무쪼록 이번 수해로 어려움에 처한 분들이 속히 평안한 일상으로 돌아가실 수 있기를 바라고 바랍니다.

참고 기사
19250년 7월 15일. 「今日은初伏」
1933년 7월 13일. 「초복!오늘부터 三복입니다 여름을 안타십니까? 더위에 여위는 이와 선병질인 아이는 영양과 수면에 주의할 일」
1934년 7월 23일. 「朝鮮의 여름과 더위」
1937년 7월 9일. 「삼복과 구탕(狗湯) - 복 명절의 의미와 구탕 먹는 까닭」
1938년 7월 20일. 「餘滴」
1954년 7월 13일. 「오늘 初伏!」
#초복#삼복#복날#보신탕#건강관리#개장국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