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의 양복, 민주당의 한복, 국힘의 상복… 옷이 곧 정치였다[청계천 옆 사진관]

  • 동아일보

코멘트

백년사진 No. 129

● 백 년 전 구경거리

“그거 봤어? 재밌지 않아?”
“그러게 재밌더라. 예쁘기도 하고 좀 어색하기도 하고…”

짧은 순간 포착된 이미지가 웃음을 자아내기도 하고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짧은 영상이나 패러디 이미지인 ‘밈’ 이전에도 우리는 ‘사진’을 통해 비슷한 경험을 했다. 100년 전 지난 주 동아일보에는 ‘세계의 여자 풍속’ 시리즈가 연재되고 있었다. 지금의 시선으로 봐도 낯선, 세계 여러 나라 여성들이 카메라 앞에 서 있는 사진이 연재되었다. 당시 독자들과 시민 사이에서는 꽤나 흥미로운 대화 소재였을 것이다.

세계의 여자 풍속 (13) 인도네시아 자바 여성. 1925년 8월 24일자 동아일보.
세계의 여자 풍속 (14).  베들레헴 여성. 1925년 8월 28일자 동아일보.
세계의 여자 풍속 (14). 베들레헴 여성. 1925년 8월 28일자 동아일보.


● 천안문 망루에 양복을 입고 올라간 김정은

최근 북한 뉴스가 많다. 개인적으로 중국 천안문 망루에 올라가서 ‘전승 80주년 기념 열병식’을 보는 북중러 최고지도자의 복장이 어떤 모습일까 궁금했었다. 러시아 푸틴은 평소 외교 무대에서처럼 양복을 입을테고 중국 시진핑은 평소에는 양복을 입지만, 전승절 행사에는 ‘중산복’을 입을 텐데 북한 김정은은 과연 무엇을 입을까 하는 점에 관심이었다.

트럼프 대통령과 우리 문재인 대통령과의 외교 만남에서 김정은은 인민복을 입었었다. 평소 북한 내부에서 행사를 할 때도 입는 옷이다. 40대의, 유럽에서 유학생활을 한 젊은 지도자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옷이지만 그는 주로 인민복을 입는다. 젊은 시절의 할아버지 김일성과 평생 동안 아버지 김정일이 입었던 종류의 옷이다. 혁명하던 시대의 사람들처럼, 인민들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라는 메시지를 주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색깔은 자신이 좋아하는 짙은 감색이다.

시진핑(가운데) 중국 국가주석이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3일(현지 시간) 베이징 톈안먼광장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 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석하고 있다. 2025.09.03. 베이징=AP/뉴시스

그런데 만약 망루에 올라 선 북중러 3명의 지도자 중 러시아 푸틴이 양복을 입고, 중국과 북한 지도자가 외형적으로 유사한 중산복과 인민복을 입고 세계의 카메라 앞에 선다면 어땠을까? 시진핑이 입는 일종의 ‘행사용 의복’을 김정은도 옆에서 같이 입고 있었다면 ‘밈’으로 확대재생산되어 입방아에 오를 수도 있었을 것이다. TPO(Time, Place, Occasion)에 맞지 않는 것이다.

북한 김정은의 참모들은 김정은의 최종 복장을 ‘양복’으로 결정했다. 중국에 들어가고 나오는 전용 열차에서 입었던 인민복 대신에 정상국가 지도자들과 똑같은 양복을 입었다. 그 결과 66년 만에 한 자리에 모인 북중러 최고지도자들의 ‘쓰리 샷’은 자연스럽게 연출됐다.

● “나를 탤런트로 만들 셈이야?” 대통령의 호통

시각적으로 어떻게 준비해서 대중이나 국제 무대에 서느냐 하는 것은 이제 정치인들에게는 평범하고도 당연한 과제이다. 보여주는 것을 중시하는 사회주의 국가와 이미지 정치의 끝판을 보여주는 미국에서는 그 과제를 풀어 온 역사가 길고 또 노하우도 많이 축적되어 있다. 우리의 경우는 어떨까? 미국의 이미지 정치를 10이라고 하면 우리는 5 정도 될까 아니면 10에 근접했을까?

1980년대 군사 쿠데타로 대통령 자리를 차지했던 군인 출신 전두환은 카메라 앞에서 ‘쇼’를 하는 것에 대해 처음에는 거부감이 컸었다. 포즈를 이렇게 취하면 사진이 잘 나올 것 같다는 공무원 카메라맨의 요청에 “나를 탤런트로 만들 셈이야?”라고 호통을 쳤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의 이미지 정치 역사는 대략 40년 쯤 된 셈이다. 그 40년 동안 우리 정치의 시각적 포장은 급속한 발전을 했다.

● 시선을 끄는 정치인의 복장

지난 주 우리나라 국회 개원식에 참석한 국회의원들의 복장이 화제였다. 앞서 우원식 국회의장이 백혜련 민주당 의원 제안을 받아 개회식 때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높이기 위해 여야 의원들에게 한복을 입자고 요청했다. 여당인 민주당과 친여성향 조국혁신당 그리고 보수성향의 개혁신당 등은 한복을 입고 등장했다. 일부 의원은 영화 케이팝데몬헌터스 유행에 발맞춰 ‘갓’까지 쓰고 나왔다.

반면 정부 정책에 반대한다는 메시지를 주기 위해 국민의힘 의원들은 검은 양복에 근조 리본을 단 차림으로 참석했다.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 국회(정기회) 개회식에서 더불어민주당 등 의원들의 한복과 국민의힘 의원들의 상복이 대비되고 있다. 2025.9.1/뉴스1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 국회(정기회) 개회식에서 더불어민주당 등 의원들의 한복과 국민의힘 의원들의 상복이 대비되고 있다. 2025.9.1/뉴스1

사진으로 남은 순간은 보는 사람들에 따라 다르게 읽힌다.

특이한 사진과 화면이 만들어지고 나면 다음 날(신문 기준으로) 사람들은 어제 본 장면을 소재로 이야기를 나눈다. 지금은 인터넷으로 뉴스를 접하는 시대라 이미지도 하루에 몇 번씩 만들어지고 소멸한다. 밈으로 만들어 유통되면서 사람들의 평가도 빠르다.

● 한복과 상복, 누가 이긴 경쟁이었을까

국회 개원식에 단체로 의원들이 한복을 입고 의원들이 등원한 것은 최근에는 없었던 일이다. 해방 직후 나라가 만들어 졌을 때 개원 국회의 개원식 장면에서는 몇몇 의원들이 두루마기를 입고 등장하긴 했었다.

제헌국회 - 제헌국회 의원들의 기념 촬영. 대체로 양복을 입었지만 중간중간 두루마기를 입은 의원들의 모습이 보인다. 단기 4281년 (서기 1948년) 5월. 동아일보 DB

이미지는 그냥 보여지는 게 아니다. 이미지는 서로 경쟁한다. 그래서 쉬지 않고 새로운 이미지가 시도된다. 세계에 한복을 알리려는 시도는 문화 확산 측면에서는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한복 이미지와 상복 이미지는 경쟁했다. 사진기자의 눈으로 보면 문화적 이벤트에서 민주당이 승리했다. 한복은 포토제닉했고 국민의힘 의원들이 주장한 상복은 미흡했다. 아예 노란 톤의 상여 행렬 때 입는 옷을 입었어야 눈과 카메라에 띄는 것은 아니었나 하는 주변 사진기자들의 의견도 있었다.

세계의 시청자들에게 한복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알리는 데 얼마나 역할을 했는지는 파악되지 않지만 여야가 다른 복장으로 등장한 2025년 국회 개원식은 뉴스가 되었다. 흑백처럼 선과악처럼 이분법으로 구분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말 여당과 국회의장이 이긴 경쟁이었을까. 보는 사람들에게 감동이나 감성적 치유를 주었을까? 정치 전체가 패배한 것은 아니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인터넷을 통해 원래 지지하던 사람들에게 전달된 영상에 달린 ‘좋아요’ 숫자 만큼 일반 국민들의 지지도 받았을까. 불편한 사람들의 숫자는 얼마나 될까.

만약 국민의힘 의원들이 이번처럼 ‘회사 부장님 부친상에 가는 직장인 복장’ 대신에 진짜 상복을 입고 등원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국내 뿐만 아니라 외신의 주목까지 받았겠지만 한국 정치가 국제 사회에서 국민들을 부끄럽게 하는 일이었을 수도 있었겠다는 결론이었다. 그나마 절제한 게 다행이었다.

특이한 장면을 연출하는 것은 시선을 끌기에는 좋다. 그렇다고 꼭 좋은 평가로 이어지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TPO에 맞추는 복장이 중요하다는 걸 지난 주 베이징 천안문 망루와 우리나라 국회의사당을 보며 느꼈다.
#전승절#김정은#국회#여야#한복#상복#이미지 정치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