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이란 무엇인가 [소소칼럼]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4월 12일 16시 00분


코멘트
상식(常識, common sense). 보통 알고 있거나, 으레 알고 있어야 한다고 여겨지는 지식.

언론사 입사시험 상식 과목을 준비하기 위해 서점에서 책을 들춰보다 한없이 작아졌던 기억이 있다. ‘일반적으로’ 알아야 할 것들을 몰라 애써 머릿속에 구겨 넣어야 한다는 게 부끄러워진 탓이다.

하지만 정말 상식이 그렇게 일반에 ‘공유된 지식’일까? 상식의 경계는 생각보다 흐릿하다. 나와 너의 상식이 다르다는 얘기다. 누군가에겐 자명한 것이, 다른 누군가에겐 낯설다. 하물며 하루아침에 WTO(세계무역기구) 체제가 모래성처럼 무너질 수 있는 시대 아니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뉴시스

한 이공계 친구의 푸념이 떠오른다. 왜 제1, 2차 세계대전의 발단 같은 인문학적 교양을 잘 모르면 무식하다 손가락질하면서 열역학 1, 2법칙 등 물리학을 모르는 건 대수롭지 않게 여기냐는 하소연이었다.

언뜻 수긍이 갔다. 아무래도 정치, 경제, 역사 같은 문과 지식이 상식이란 이름으로 불리기 쉬운 것은 사실이니 억울하겠다 싶었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니 여기엔 반대급부가 있다. 이과는 때때로 상식이 빈약하단 오해를 사지만, 이는 그들의 지식이 상식보다는 전문성의 영역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일반에 생소한 언어를 쓰다 보니 더 특수하고, 이해하기 어렵고, 진입장벽이 높은 소위 ‘고급 지식’이라 여겨진다.

반면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등 문과는 어떠한가. 모든 게 상식의 범주에 들어가기 때문에 전문성이 부정되기 쉽다. ‘돈이 많으면 행복하다’ ‘양극화가 갈수록 심해진다’ ‘소셜 미디어가 가짜 뉴스를 퍼뜨린다’ 따위의 연구를 해도, 지극히 당연한 얘기처럼 들린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얘기를 한다는 이유로 곡학아세한다는 의심을 받기 일쑤다. 그럴싸한 말장난만 늘어놓는다 오해 받는 문과생의 밥벌이는 그래서 언제나 조금 위태롭다.

하지만 아는 사람은 알 것이다. 그 ‘당연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 얼마나 치열한 질문과 검증을 거쳐야 하는지를. 물리학 박사이자 사회학자인 던컨 와츠는 그의 저서 『상식의 배반(Everything Is Obvious: Once You Know the Answer)』에서 말한다. 막상 정답을 알고 나면 너무나 명백해 보이는 사실도, 알기 전엔 수많은 가능성 중 하나였을 뿐이라고. 누구나 사후적 설명을 떠벌리고 말을 얹을 수는 있지만, 선제적으로 답을 구하고 진실에 다가가는 건 생각보다 훨씬 어렵다.

더욱이 사회 현상은 물리 법칙처럼 작동하지 않고 변덕이 죽 끓듯 하기 때문에 뻔해 보이는 상식도 결코 당연하지 않다. 전문가일수록 말을 아끼는 이유는, ‘진짜 상식’이 얼마나 드문지 그 무게를 짐작하기 때문일 테다.

하물며 지금 이 시대엔, 상식을 말하는 것 자체가 민감한 일이 됐다. 모두가 뾰족하게 날을 세우는 정치, 사회 문제는 유독 그렇다. 누구의 상식인가? 2025년 광화문과 용산에서도 목격했듯 같은 시점에도 전혀 다른 목소리가 울리는 지금, 갈가리 찢어진 사회에서 우리는 더 이상 ‘공통의 지식’을 기대하기 어렵다. 의견 차이를 넘어 사실 자체에 대한 합의조차 힘든 ‘탈진실(post-truth)’의 시대가 도래했기 때문이다. 이미 무엇이 상식인가보다는 무엇을 상식으로 믿고 싶은지가 더 중요한 세상이 됐다.

그러나 상식에 대한 합의가 어렵다고 해서 상식이 사라져도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너와 나 사이에 거대한 강이 흐르고, 문·이과 차이는 우스울 만큼 뿌리 깊은 단절이 있다고 해도 그 강을 건널 다리를 놓으려는 노력을 멈춰선 안 된다. 우리를 하나로 묶어 줄 진실의 끈을 단단히 붙들어야 한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의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탄핵을 애타게 기다렸던 이들도, 태극기를 쥐었던 이들도,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보면서는 각자의 가정사와 현대사의 한 장면을 포개며 함께 눈시울을 붉히지 않았을까.

지금 우리가 다시 상식을 물어야 하는 이유는, 결국 서로를 이해하고 싶은 간절함 때문일 것이다.

상식이란 무엇인가. 화해는 바로 이 질문에서 다시 시작돼야 한다.

[소소칼럼]은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나 소소한 취향을 이야기하는 가벼운 글입니다. 소박하고 다정한 감정이 우리에게서 소실되지 않도록, 마음이 끌리는 작은 일을 기억하면서 기자들이 돌아가며 씁니다.
#상식#소소칼럼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