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실 들어서자 커튼이 저절로 ‘스르르’… 요리 끝나면 공기청정기가 알아서 ‘윙’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삼성-LG, ‘AI 홈기술’ 한단계 진화
獨IFA 관람객들 “와우” 감탄사
“AI 스마트홈 시장 10년뒤 144조”


‘IFA 2025’ 삼성-LG… “AI 홈체험 해보세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고 있는 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 국내 업체들이 인공지능(AI) 홈 기술을 선보였다. 삼성전자의 AI 홈 체험 공간에 들어가기 위해 관람객들이 줄을 서 있다(위쪽 사진). 아래쪽 사진은 관람객들이 LG전자 홈 AI 가전을 들여다보는 모습. 삼성전자·LG전자 제공
‘IFA 2025’ 삼성-LG… “AI 홈체험 해보세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고 있는 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 국내 업체들이 인공지능(AI) 홈 기술을 선보였다. 삼성전자의 AI 홈 체험 공간에 들어가기 위해 관람객들이 줄을 서 있다(위쪽 사진). 아래쪽 사진은 관람객들이 LG전자 홈 AI 가전을 들여다보는 모습. 삼성전자·LG전자 제공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유럽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 인공지능(AI) 홈 기반의 차세대 주거 모델을 각각 선보였다. AI가 주변 환경을 인지한 뒤 스스로 판단해 사용자의 일상을 알아서 편리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삼성전자는 5∼9일(현지 시간) 독일 베를린의 메세베를린에서 진행되는 IFA 2025에서 AI 홈 기술 집약체인 ‘스마트 모듈러 홈 솔루션’을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218㎡ 규모의 현관, 거실, 방 등 주택 형태를 갖춘 모듈러 건축물을 만들어 삼성전자의 AI 홈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모바일로 스마트 도어락을 접촉하면 문이 열리고, 거실로 들어서면 저절로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로 불이 켜진다. AI가 스스로 커튼을 걷는 등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았는데도 저절로 판단하고 작동하는 AI 홈 기술에 관람객의 관심이 집중됐다. 삼성전자 AI 홈 체험관 주위에는 관람객들이 입장을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는 모습도 보였다. 실제 AI 홈 기술로 가전이 작동되자 관람객들 사이에서 “헉” 하는 감탄사가 나오기도 했다.

LG전자는 IFA 2025에서 올해 출시 예정인 AI 홈 허브 ‘LG 씽큐 온’을 앞세운 AI 홈 기술을 선보였다. 이는 AI가 대화를 통해 사용자를 도와 준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를 하고 있는 사람이 요리를 할 경우 AI가 거기에 맞는 식사 메뉴와 레시피를 추천해 준다. 메뉴가 결정되면 필요한 주방기기를 자동으로 준비한다. 요리가 끝난 뒤에는 오븐 상태를 확인하고, 공기청정기를 가동하거나 창문을 열어 환기하라고 제안하는 모습까지 볼 수 있었다.

AI 홈 기반 가전은 최근 국내 가전업체들이 중국 가전업체와의 기술 격차를 벌리는 핵심 경쟁력으로 꼽히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중국도 AI 기술을 적용한 가전을 내놓고, 자체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연결성을 강화하고 있지만 생성형 AI 등을 적용한 AI 홈 기술은 아직 연구 단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AI 홈 솔루션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효과와 보안 강화 역시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AI 홈 기술을 통해 세탁기 등의 가전이 기존 대비 최대 70%가량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가전업계에서는 AI 홈 기술이 앞으로 가전업계 성장을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인사이트에이스 애널리틱스는 AI 기반의 글로벌 스마트홈 시장이 2024년 153억 달러(약 21조3000억 원)에서 2034년에 1041억 달러(약 144조7000억 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10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21.3%에 이른다.

#삼성전자#LG전자#IFA 2025#AI 홈기술#AI 스마트홈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