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형상점가 살아나야 지역경제도 산다[기고/박성효]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6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박성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사장

박성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
박성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
전통시장은 오랜 기간 국가 지원 정책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전국의 현장을 직접 다녀보며 마주한 현실은 달랐다. 시장 뒤편, 뒷골목 작은 상점들은 임대가 반복되고 상권은 조용히 사라지고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전통시장에도, 상점가에도 속하지 않아 어떤 정책적 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었다.

골목을 지키고 있는 상인들이야말로 집중 지원으로 살아나야 할 대상이라고 본다. 소형 골목상권을 지원할 방안을 고민하던 중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및 동법 시행령에 명시된 ‘골목형상점가’에서 해답을 찾았다. 필자가 22년 취임 당시 전국 지정 건수는 100여 개, 가입 점포는 1만1000개 남짓으로 활성화가 필요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곧바로 골목형상점가 발굴·육성을 전사적 중점 과제로 삼았다. ‘골목형상점가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해 이를 기반으로 전 부서, 자치단체, 민간 등이 협업한 이른바 올코트프레스 전략으로 골목형상점가 육성에 나섰다.

먼저 전국 지역센터를 중심으로 골목형상점가로 지정 가능한 소형 골목상권을 발굴했다. 자치단체와 협업해 자치단체별로 상이한 골목형상점가 지정 관련 조례를 안내하며 상인회 설립부터 상권 구획 확정, 골목형상점가 지정 신청에 이르기까지 복잡한 행정 절차를 밀착 지원했다.

공단 사업과 연계한 지원 방안도 마련했다.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등록은 물론 시장 경영 패키지를 통해 지역·상권별 특성을 반영한 공동 마케팅, 상인 교육 등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했다. 스마트 기술 도입 및 디지털 전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맞춤형 컨설팅 등 종합 지원 체계를 갖췄다. 또한 이러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찾아가는 설명회를 개최해 실효성을 높였다.

민간 협업도 이뤄졌다. 카카오와 연계한 ‘단골거리’ 프로젝트로 디지털 교육, 오프라인·온라인 행사 등을 지원하며 단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실제로 대전의 은구비서로 골목형상점가는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 후 방문객이 하루 평균 20% 증가했다.

이러한 노력은 성과로 나타났다. 2023년까지 62개, 2024년 200개를 신규 발굴해 2025년 6월 현재 누적 634개, 가입 점포 6만6000여 개로 당초 목표였던 600개를 초과 달성했다. 올해 말 700개를 넘길 것으로 예상되며 2027년까지 누적 1000개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는 골목형상점가의 우수 모형을 발굴·전파해 전국 자치단체로 확산하고자 한다. 예컨대 광주 서구는 전체 지역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하고 모든 점포에서 온누리상품권 사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자치단체 예산 없이도 상점들이 제도권에 들어오고 소비자들은 혜택을 받는다. 골목경제 활성화가 자치단체의 의지와 제도 연계만으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지역이 죽으면 상점이 사라지고, 상점이 사라지면 지역은 살아날 수 없다. 결국 지역 살리기와 상권 활성화는 동전의 양면처럼 한 몸인 것이다. 어느 하나만으로 지속가능하지 않기에 이러한 정부 정책은 자치단체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골목형상점가가 지방소멸 해소는 물론 골목상권 활성화의 해법이 되리라고 믿는다.

#공기업감동경영#공기업#전통시장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