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딥러닝·다관절 로봇·돌봄 기술까지…‘2025 로보월드’ 11월 개막

  • 동아일보

코멘트

2025 로보월드, 오는 11월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

2025 로보월드 포스터. 한국로봇산업협회 제공


국내 최대 로봇 전시회 ‘2025 로보월드’가 오는 11월 5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2홀에서 개최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공동 주관한다.

2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로보월드는 국내·외 350개 사, 1000 부스 규모로 역대 최대 규모의 전시회로 구성될 예정이다. 전통적인 제조업용 로봇, 전문 서비스용/개인 서비스용 로봇, 로봇 부품·SW를 비롯해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는 휴머노이드 로봇, 피지컬 AI 등의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한 특별관도 운영한다.

특히 AI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활용한 산업용 로봇 업체도 다수 참가한다. 딥러닝 기술은 다층 인공신경망(Deep Neural Networks)을 활용해 데이터 특징을 자동 추출하고 학습하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다. 수동 피처 엔지니어링 없이 직접 대량 데이터에서 패턴을 학습할 수 있어, 영상·음성·의료·과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주목받고 있다.

본격적인 전시 개막에 앞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AI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산업용 로봇 업체와 돌봄 로봇업체 등 국내 유망 로봇 기업들의 기술력과 전시 전략을 미리 살펴봤다. (ㄱㄴㄷ순)

나우로보틱스, 전통적인 산업용 로봇 라인업 포함 신규 다관절 로봇 라인업 공개
AI 기술 기반 캐리커처 이벤트. 나우로보틱스 제공


나우로보틱스(대표 이종주)는 산업용 로봇과 자율주행 물류 로봇을 자체 개발 및 생산하는 로봇 전문 기업이다. 지난 5월 코스닥에 상장해 빠르게 성장 중이다.

나우로보틱스는 국내외 700여 개 고객사를 확보해 다수의 제조 현장에서 자동화 구축 경험을 갖췄다. 공정 분석부터 로봇 셋업, 제어 소프트웨어 통합, 유지보수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원스톱 로봇 솔루션을 제공한다. 제조 현장에 따라 유연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번 로보월드에서는 직교 로봇(NURO Series), 다관절 로봇(NURO X Series), 스카라 로봇(NUCA Series) 산업용 로봇 라인업과 자율주행 물류 로봇(NUGO Series) 등 주요 제품을 모두 전시할 예정이다. 신규 다관절 로봇 라인업도 공개된다.

그 밖에도, 전시장에서는 관람객의 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캐리커처로 그려주는 AI 기반 체험 이벤트도 진행된다. 정밀 제어 기능을 갖춘 다관절 로봇 뉴로 엑스(NURO X)에 AI 딥러닝 기술을 접목해, 관람객에게 로봇 기술의 가능성과 재미를 동시에 선사할 예정이다.

로보케어, 생활 반려 돌봄 로봇 ‘케미’로 고령화 대응…인지·정서 케어 기술 주목
생활 반려 돌봄 로봇 ‘케미프렌즈(CAMI-friends)’. 로보케어 제공


로보케어(대표 문전일)은 고령자의 정서 및 인지 케어에 특화된 생활 밀착형 로봇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2012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술 출자 1호로 설립돼, 고령자 돌봄과 발달장애인 정서 지원에 특화된 로봇 기술을 상용화해 왔다. 대표 제품으로는 그룹형 인지훈련 로봇 실벗(SILBOT), 탁상형 보미(BOMI) 시리즈 등이 있다.

이번 로보월드에서는 가정용 생활 반려 돌봄 로봇 ‘케미프렌즈(CAMI-friends)’를 중심으로 전시를 구성한다. 케미프렌즈는 고령자의 일상생활을 밀착 지원하는 로봇으로, 기상·식사·복약 알림은 물론 외출·귀가 확인, 낙상 감지 기능을 갖추고 있다. 긴급상황 발생 시 보호자에게 긴급 알림을 제공한다. 자율주행과 사용자 추종, 자동 충전 기능 등도 갖췄다.

특히 딥러닝 기반 감정 인식 및 AI 에이전트 기술을 적용해, 사용자와의 감정 대화와 정서 교감이 가능하다. 전면 카메라와 마이크, 센서를 통해 감정 상태를 실시간 분석하며, 이에 따른 감성 대화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홈 CCTV 기능과 로봇 원격 조작 기능이 탑재돼, 보호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과 음성 통화,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로보케어는 이번 전시에서 해당 기능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시연 공간을 운영할 계획이다.

로보케어 측은 “노인 돌봄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돌봄 로봇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며 “로보케어가 선도주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