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관세유예 3개월 연장하기로… 트럼프 최종 승인만 남아”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31일 03시 00분


코멘트

[관세 시한 D-1]
3차 고위급 무역협상서 잠정 합의… 美 “러 원유 수입땐 500% 관세” 경고
中 “펜타닐 이유 20% 관세 철회” 요구… 10월 정상회담 추진 해법 모색할듯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미국과 중국의 제3차 고위급 무역협상이 시작되기 전 28일(현지 시각)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왼쪽)과 허리펑 중국 부총리가 악수하고 있다. 2025.07.30 스톡홀름=신화/뉴시스
미국과 중국이 28, 29일(현지 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3차 고위급 무역협상을 갖고 관세 유예 조치를 3개월 더 연장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양측은 계속 협상을 진행하기로 했고, 극단적인 대립은 지양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국은 중국에 러시아산 원유 수입 중단을, 중국은 미국에 펜타닐 관세 철폐 등을 요구했지만 뚜렷한 결론은 못 낸 것으로 전해졌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중이) 대화에는 나서지만 양보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결국 양측이 이르면 올 10월로 예상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에서 톱다운 방식의 해결을 추진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30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양국은 관세 유예 조치를 90일 더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미중은 올 5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제1차 무역협상을 벌여 상대방에 대한 관세를 90일간 115%포인트씩 내리기로 합의했다. 중국 협상단 대표인 허리펑(何立峰) 부총리는 “중-미 경제무역 관계의 본질은 상호 이익”이라며 “협력하면 서로에게 이롭지만, 대립하면 모두에게 피해를 준다”고 말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미국 협상단 대표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날 별도 기자회견을 통해 “회의는 건설적이었다”면서도 “몇 가지 기술적인 문제가 남아 있고,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승인이 남아 있다”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 기간 연장을 거부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많다.

베선트 장관은 이번 협상에서 러시아산 원유를 계속 수입하면 높은 관세가 부과될 거라고 중국에 경고했다. 그는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는 국가에 최대 500% 관세를 부과하도록 하는 법안이 미 의회를 통과하면 미국 동맹국들도 동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이 경제 구조를 수출 중심에서 소비 위주로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고 덧붙였다.

중국도 미국이 펜타닐 원료의 미국 유입을 차단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부과한 20% 관세 철회를 요구했다. 이에 미국 측은 중국의 펜타닐 단속에 진전이 없다고 반박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 대중(對中) 첨단 분야 수출 규제의 추가 해제나,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 인수 관련 논의는 없었다고 미국 대표단은 설명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미국은 앞으로 본격적인 무역협상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으며, 올해 안에 양국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기자들에게 “연말 전에 (시 주석과의) 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중국#관세 유예#무역협상#베선트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