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사슬 체포’ 美 현대차-LG 공장 르포
“근로자들 구금소로 끌려간뒤… 韓서 누가 여기로 출장 오겠나”
李 “큰 책임감, 부당한 침해 없어야”… 귀국편 전세기 오늘 애틀랜타로
8일(현지 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의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HL-GA) 임시 주차장. 건설 현장에 투입된 한국인 근로자들이 이용한 것으로 보이는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 4일 미 이민당국의 불법 체류자 단속으로 한국인 300여 명이 불시에 체포되면서 빈 차들이 주차장에 방치돼 있었다. 엘라벨=임우선 특파원 imsun@donga.com
축구장보다 커 보이는 대형 공장엔 단 한 명의 인기척도 느껴지지 않았다. 하지만 주차장에는 여기저기 수십 대의 차들이 서 있어 그 부조화가 마치 사람들만 사라진 재난 영화의 한 장면처럼 느껴졌다. 이곳이 한때 ‘한미 경제 협력의 상징’과 같은 현장이었다는 게 믿기지 않았다.
8일(현지 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의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HL-GA) 임시 주차장. 건설 현장에 투입된 한국인 근로자들이 이용한 것으로 보이는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 4일 미 이민당국의 불법 체류자 단속으로 한국인 300여 명이 불시에 체포되면서 빈 차들이 주차장에 방치돼 있었다. 엘라벨=임우선 특파원 imsun@donga.com8일(현지 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의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HL-GA) 건설 현장을 찾았다. 4일 미 이민 당국에 의해 이곳의 한국인 직원 300여 명이 붙잡혀 간 이후 처음 맞는 월요일이었다. 평소라면 출근하는 수백 명의 직원으로 북적였을 월요일 오전 8시였지만, 공장에는 적막감만 감돌았다. 평소 정문에서 직원들의 출입증을 체크했을 보안요원들도 보이지 않았다. 여기저기 주차장 바닥에 널브러져 있는 대형 쓰레기통은 군사작전처럼 진행된 4일 단속 당시의 혼란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듯했다.
엘라벨=임우선 특파원 imsun@donga.com공장 주차장엔 주인을 잃은 자동차 수십 대가 서 있었다. 평소 합숙 생활을 하는 직원들이 삼삼오오 짝을 이뤄 타고 다니던 미니밴도 그중 하나다. 차량 안에는 금방이라도 돌아올 것처럼 먹다 만 커피와 생수병들이 놓여 있었다. 주차된 차량 중 렌터카들은 주인이 누군지, 차 키가 어딨는지 알 수 없어 반납하지 못한 채 방치된 상황. 한국과 미국의 대규모 경제 협력 현장은 이처럼 완전히 멈춰 있었다.
엘라벨=임우선 특파원 imsun@donga.com한 기업 관계자는 “구금된 직원들이 전세기로 떠나더라도 짐 정리부터 렌터카 반납까지 뒷일을 처리해 줄 직원이 필요한데 과연 한국 본사에서 누가 여기로 출장을 오겠냐”며 한숨을 내쉬었다. 인근 서배너 지역 한인 기업인들로 구성된 ‘서배너 경제인협회’의 비비안 리 회장은 “이 지역처럼 한국 기업 덕을 많이 본 곳도 없다”며 “이번 사태로 지역경제에도 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엘라벨=임우선 특파원 imsun@donga.com9일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국민 안전의 최종 책임자인 대통령으로서 큰 책임감을 느낀다”며 “한미 양국의 동반 발전을 위한 우리 국민과 기업 활동에 부당한 침해가 가해지는 일이 재발하지 않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김용범 대통령정책실장은 이날 한국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 “정부는 한 명도 빠짐없이 추방이 아닌 자진 입국으로 모시고 올 수 있도록 막바지 행정 절차를 마무리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외교적으로 가장 강한 톤으로 우려와 유감을 표명했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외교적인 용어가 아닌 강력한 항의를 했다”고 말했다.
한편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10일 구금자들이 탑승할 B747-8i 전세기를 인천국제공항에서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으로 보낼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