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구직자 1명당 일자리 0.44개… 대책 없는 게 더 문제

  • 동아일보

코멘트
지난달 구직자 1명당 일자리 개수가 8월 기준으로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이후 27년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정부 고용서비스 플랫폼 ‘고용24’를 통한 구인 인원은 15만5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만7000명 줄어든 반면에 구직 인원은 35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4000명 늘었다. 구인 인원을 구직 인원으로 나눈 ‘구인 배수’는 0.44로 지난해 같은 달(0.54)보다 하락했다. 일자리 하나를 놓고 두 명 이상이 경쟁해야 하는 팍팍한 상황이다.

2023년까지만 해도 0.6을 웃돌았던 구인 배수는 지난해부터 하락하더니 올해 들어서는 0.3∼0.4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고용 창출 효과가 큰 제조업과 건설업, 도소매업 등에서 일자리 감소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비자발적 실직자에게 제공되는 구직급여(실업급여) 지급액은 올해 2월부터 8월까지 7개월 연속 월 1조 원을 웃돌았다. 한 달 1조 원대 지급은 2021년 2∼8월과 함께 역대 최장 기록이다. 아예 구직 자체를 포기하고 ‘그냥 쉰다’는 20대 청년이 42만 명을 넘어선 데는 이유가 있다.

앞으로도 일자리 가뭄이 해소될 전망이 보이지 않는 게 문제다. 미국발 관세 대응을 위한 공장 해외 이전, 석유화학 등 산업 구조조정 여파로 국내 제조업 일자리는 계속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른 단순 업무 대체, 경력직 선호 현상 등으로 청년 일자리는 고갈 상태로 몰리고 있다. 하반기 공채 시즌이 다가왔지만 대학 채용박람회 참여 기업은 예년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지난해 500대 기업의 신규 채용은 전년보다 12% 감소했는데, 올해는 더 줄어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런데도 정부는 고용 상황이 최악을 지났고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점차 개선되고 있다며 낙관론만 펴고 있다. 하지만 정부 예산으로 고령층의 단기 일자리를 만드는 방식으론 한계가 있다. 신산업 육성, 산업 구조 고도화와 연계한 장기적 일자리 종합 대책이 필요하다. 기업 부담을 완화하고 투자를 촉진해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만드는 데 정부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구직자#일자리 개수#고용서비스#구인 인원#구직 인원#청년 일자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