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자와 패자가 가장 극명하게 나뉘는 게 선거다. 대통령 선거든, 국회의원 선거든, 당 대표 선거든 마찬가지다. 1표만 이겨도 승자는 막강한 권력을 갖고, 패자는 빈손으로 하염없이 다음을 기약하는 처지에 내몰린다. 제로섬 게임에서 이긴 승자가 전리품을 독식하는 것이다. 그래서 유권자들은 승자가 승리에 취하지 않도록 경고장을 함께 쥐여 보내곤 한다.
2022년 대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은 헌정 사상 가장 작은 0.73%포인트 득표율 차로 당선됐다. 유권자들은 진영 중심으로 국정을 운영한 문재인 정부를 심판하면서도 새 대통령에게 독선과 오만에 대한 경계를 함께 요구했다. 하지만 당선 직후부터 경고를 무시한 윤 전 대통령은 결국 처절하게 추락했다.
윤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치러진 6·3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49.42% 득표율, 1728만 표를 얻으며 역대 민주당 대선 후보 중 가장 높은 득표율, 가장 많은 득표로 당선됐다. 불법 비상계엄에 성난 유권자들은 이 대통령에게 큰 힘을 실어주면서도 과반은 허락하지 않았다. 권력의 절제와 자제, 야당과의 포용과 협치를 동시에 주문한 것이다.
승자에게 보내는 유권자의 경고는 이번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에서 아주 선명하게 나타났다. 강성 반탄(탄핵 반대)을 내세운 장동혁 대표는 지난달 26일 결선 투표 끝에 탄핵 찬성파를 포용하자는 온건 반탄 김문수 후보를 꺾고 당선됐다. 불과 2368표 차, 득표율 0.54%포인트 차 신승이었다.
장 대표를 승리로 이끈 건 강성 당원들이었다. 책임당원 투표 80%, 일반국민 여론조사 20%라는 선거룰을 바탕으로 당원 투표에서 52.88% 득표율을 올린 장 대표가 득표율 47.12%에 그친 김 후보를 따돌린 것이다. 반면 여론조사에서 장 대표는 39.82%를 얻어 60.18%의 김 후보에게 20%포인트 이상 차이로 졌다.
국민의힘은 일반국민 여론조사로 표현하지만 이 조사는 역선택을 막기 위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제외하고 보수 지지층과 무당층만을 대상으로 한다. 사실상 보수 지지층 여론조사에 더 가까운 셈이다.
여기에서 드러난 유권자들의 경고는 명확하다. 전당대회에서 보여준 장 대표 발언은 강성 당원들에겐 소구할 수 있어도 당적이 없는 중도 보수층, 더 나아가 당 밖을 벗어난 민심의 바다에선 통하지 않을 것이란 의미다. 국민의힘의 한 소장파 의원은 “장 대표가 누구보다 결과의 의미를 잘 알 것”이라고 했다.
장 대표는 일단 대표에 취임한 이후 강성 발언은 접어뒀다. 윤 전 대통령 접견에 대해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결정을 하겠다”고 했고,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에 대해선 “당 밖에서 최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거리를 뒀다. 주요 당직 인선에서도 계파색이 옅은 합리적인 인사들을 내세웠다.
장 대표 주변에선 장 대표가 1도씩 선회하고 있다고들 한다. 당내에선 안도의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그 정도의 변화는 당 대표 선거에서 유권자들이 보낸 경고장에 대한 답이 될 수 없다. 국민의힘을 향해 정당 해산 발언까지 서슴지 않는 민주당에 원내 제1야당으로서 당당하게 대응하고, 나아가 내년 지방선거에서 성과를 내려면 장 대표는 1도씩이 아닌 급변침을 해서라도 민심의 문을 열어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