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훈 뉴고려병원 정형외과 외상센터 과장이 모교인 서울 여의도고교 운동장에서 밝은 얼굴로 공을 드리블하고 있다. 어릴 때부터 취미로 공을 찬 그는 매주 2, 3회 축구를 즐기며 FC 메디칼스 멤버로 세계의사축구대회에도 출전하고 있다. 양종구 기자 yjongk@donga.com
양종구 스포츠부 차장조영훈 뉴고려병원 정형외과 외상센터 과장(58)은 7월 5일부터 12일까지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열리는 세계의사축구대회(의사 월드컵·World Medical Football Championship)에 출전할 기대에 부풀어 있다. 2006년 이 대회를 알게 됐고, 2007년부터 특별한 일이 없을 경우엔 계속 참가하고 있다.
“2006년 독일 월드컵을 앞두고 한국의사축구단(FC 메디칼스) 멤버로 대회 출전을 준비했습니다. 열심히 준비했는데 결국 저는 출전하지는 못했어요. 전 병원에서 일을 갓 시작한 터라 1주일 이상 자리를 비우기가 쉽지 않았죠. 그래서 그다음 해부터 출전했습니다.”
조 과장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공 차는 것을 좋아했다. 학창 시절 친구들과 축구 하는 게 유일한 취미이자 낙이었다. 대학 시절과 전문의 과정 땐 잠시 잊고 지냈지만 의사가 된 뒤엔 주말마다 축구를 즐겼다.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앞둔 2001년 국내 최초의 의사축구단 FC 메디칼스를 만든다고 해서 참여하게 됐다. 그는 “당시 국회 축구장에서 의사축구단 창단 모임을 한다고 해서 ‘축구 하는 의사들이 진짜 있구나’ 하며 참여한 게 지금까지 이어졌다”고 했다.
의사 월드컵은 유럽의 일부 국가들만 참가하는 대회였다. 그런데 2006년 당시 규모를 키우기 위해 대륙별 참가국을 물색하면서 아시아 대표로 한국의 출전을 타진했고, FC 메디칼스가 참가했다. 월드컵은 4년마다 열리지만 의사 월드컵은 매년 열린다. 의사 월드컵은 항공료와 숙식 관련 비용 등을 모두 참가자 개인 자비로 충당해야 해 축구에 대한 열정이 뜨거운 의사들이 주축이 돼 출전하고 있다. 지금은 전 세계 24∼26개 팀이 출전하고 있다. 한국은 2023년 오스트리아 빈 대회에서 4강에 올랐던 게 최고 성적이다.
“성적도 중요하지만 세계의 의사들과 축구 하며 어울리는 데 목적이 있어요. 의사 월드컵은 축구만 하는 게 아닙니다. 경기 중 부상 방지와 재활, 영양 등 축구 전반에 대한 세미나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우정도 쌓고 있죠.”
FC 메디칼스는 안용진 안용진내과의원 원장(67)이 주도해 만들었다. 2006년 의사 월드컵 때도 안 원장이 주축이 돼 출전했다. 조 과장은 “축구를 함께 하면서도 안 원장님이 여의도고교 선배님인 줄은 2006년에야 알게 됐다”고 했다. 차범근 축구교실의 영향으로 2001년 서울 여의도고에 축구부가 생겼고, 2009년 모교에 인조잔디 축구장이 만들어지자 안 원장이 축구를 좋아하는 동문들을 모아 2009년 ‘여의도고교 동문 FC’를 만들었다.
조 과장도 자연스럽게 참여해 주말마다 동문들과 어울려 공을 찼다. 그는 주 2, 3일 축구를 하며 몸을 만들고 있다. 수요일엔 뉴고려병원 풋살팀에서 공을 차고, 토요일엔 여의도고교 동문 FC에서 동문들과 어울린다. 일요일 오전엔 FC 메디칼스, 오후엔 아들이 조직한 팀에 나가서 구단주 겸 플레이어로 뛰고 있다.
“다 참석하려고 노력하지만 일이 있으면 빠지기도 하죠. 그래도 주 2회 이상은 축구 하고 있어요. 공을 차는 것만으로 즐거워요. 일하면서 쌓인 스트레스를 한 방에 날릴 수 있죠. 무엇보다 공 하나로 병원 직원들, 고교 동문들, 의사들과도 친해질 수 있습니다. 당연히 제 건강도 지켜주고 있고요.”
한 번 나가면 25분씩 3회 이상은 뛴다. 주 2, 3회 축구하기 위한 체력 관리는 생활 속 운동으로 하고 있다. 그는 “시간이 날 때마다 맨손체조, 팔굽혀펴기, 스쾃을 한다. 계단은 걷거나 뛰어서 오르고 있다”고 했다.
축구는 거친 스포츠라 나이 들수록 부상을 조심해야 한다. 조 과장도 크고 작은 부상을 많이 당했다. 그는 “원래 왼쪽 수비수였는데 고참이 됐다고 공격수로 자주 뛰게 해준다. 그렇다 보니 수비수나 골키퍼와 몸싸움하는 상황이 많이 나오고 부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경미한 발목 부상은 다반사고, 골키퍼 무릎에 찍혀 갈비뼈가 부러진 적도 있다. 그래도 축구는 멈출 수 없다.
“녹색 그라운드에서 11명의 선수가 하나가 돼 공을 주고받으며 상대를 제압해 나가는 기분 아세요. 그리고 좌우 사이드나 중앙에서 올라온 크로스를 받아 골로 연결했을 땐 정말 국가대표 골잡이 손흥민 부럽지 않아요. 이런 축구를 어떻게 멈출 수 있나요. 평생 공 찰 겁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