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연방 국가 캐나다의 국가 원수인 찰스 3세 영국 국왕(오른쪽)이 27일(현지 시간) 캐나다 오타와 의회에서 마크 카니 총리가 지켜보는 가운데 국가 원수가 행하는 ‘왕좌의 연설’을 하고 있다. 영국 군주의 이 연설은 1977년 찰스 3세의 모친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이후 48년 만이다. 오타와=AP 뉴시스
“세계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위험하고 불확실한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캐나다는 우리 세대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27일(현지 시간)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린 의회 개원 연설에 나선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이같이 밝혔다. 직접 이름을 말하지는 않았지만 반복적으로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州)로 만들겠다”며 위협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겨냥한 메시지로 풀이된다.
찰스 국왕은 “민주주의, 다원주의, 법의 지배, 자결권, 자유는 캐나다인들이 소중히 여기는 가치”라면서 “이를 반드시 지키겠다”며 캐나다 수호 의지를 분명히 했다.
영국과 영연방 국가의 의회 개원식에서 군주가 하는 연설을 의미하는 ‘왕좌의 연설(Speech from the Throne)’은 보통 본국에서 임명된 총독이 영국 국왕을 대신한다. 하지만 캐나다를 향한 트럼프 행정부의 주권 위협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찰스 국왕이 직접 참석해 적잖은 주목을 받았다. 영국 국왕이 직접 캐나다에서 연설에 나선 것은 역사상 세 차례뿐이다. 이번 연설은 1977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이후 48년 만이다. 펠릭스 마티유 퀘벡대 정치학 교수는 “캐나다가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 주는 상징적인 메시지”라고 프랑스24에 전했다.
이번 연설문은 캐나다 총리실에서 작성했고, 영국 국왕이 승낙하는 형태로 준비됐다.
이날 찰스 국왕은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미국 대통령은 상호 존중과 공동 이익에 기반한 새로운 경제·안보 관계를 정의했다”면서도 “캐나다의 가치를 지키면서, 우리는 모든 캐나다인을 위한 새로운 동맹과 새로운 경제를 구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NYT)는 “마크 카니 총리의 미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이날 연설에서는 캐나다가 향후 안보 부문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이라는 것도 시사했다. 찰스 국왕은 “군을 재건, 재무장, 재투자해 주권을 지킬 것”이라며 “캐나다의 유럽 파트너들과 함께 대서양 안보에 투자하는 유럽 재무장(ReArm Europe)에 참여해 캐나다 방위산업을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최근 자신이 발표한 ‘골든돔(미사일 방어망)’ 구상에 캐나다가 동참할 수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해 “그들이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면 돈이 한 푼도 안 들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