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강선우 사퇴론 확산]
“내가 수주한 연구에 1저자 당연… 표절 논란은 학계 상황 모르는 것”
與 “사과 안하나” 묻자 뒤늦게 “사죄”
딸 조기유학 논란엔 “불법 몰랐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의 질의 자료를 보고 있다. 뉴시스
“(내가) 제1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제자의 논문을 가로챘다는 비판에 대해 이렇게 반박했다. 논문 표절 의혹에는 “(표절률) 10% 미만 판정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자녀의 불법 조기 유학 논란과 관련해선 수차례 사과하면서도 “불법인 줄 몰랐다”고 했다. 야당은 “공교육 수장으로 부적격”이라며 사퇴를 요구했다.
● 李 “표절률 10% 미만”… 여당조차 “사과 안 하나”
이날 청문회에선 전국 교수단체와 학술단체 11곳의 ‘범학계 국민검증단’이 이 후보자 논문 150개를 검증한 결과 16개에서 연구 윤리 위반 문제가 발견됐다는 점이 지적됐다. 표절 검사 프로그램 ‘카피킬러’에서 표절률이 최대 56%로 나온 점도 거론됐다. 그러나 이 후보자는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며 “카피킬러는 모든 전문가가 지적하듯 신뢰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이어 “거의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에서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을 해서 모두 (표절률이) 10% 미만으로 판정을 받았다”고 했다. 제자 논문의 오타까지 그대로 베꼈다는 지적에 대해선 “오타, 탈자 이런 것들이 있었던 것에 대해서는 세심하지 못했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또 제자의 학위 논문에 본인을 1저자로 올린 것에 대해선 “지도교수와 대학원생 간 기여도를 고려해 1저자를 결정한다”고 했다. 본인의 기여도가 더 높은 만큼 ‘가로채기’는 아니라는 취지다.
이 후보자는 “36년간 학자로 살아오는 동안 그렇게 비판 받을 일을 하지 않았다”는 말도 했다. 여당 의원의 사과 권유에는 “학자적 양심에 따라 학문의 진실성을 탐구했다”고 답했고, 여당 소속 김영호 교육위원장이 “사과를 안 하시는 거냐”고 되묻자 그제야 이 후보자는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게 의혹들이 생긴 것에 대해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 후보자는 질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도 보였다. 김 위원장이 논문 가로채기와 관련해 불만을 제기한 제자가 있었느냐고 묻자 그는 “거의 울다시피 제자들이 하고 있다. 정말 많다”고 답했다. 의원들이 실소를 터뜨리자 이 후보자는 뒤늦게 손사래를 치며 “제가 (질문을) 착각했다. 불만을 이야기한 제자는 없었다”고 정정했다.
● 자녀 조기 유학 논란엔 “불법인지 몰랐다”
이 후보자는 두 딸을 중고교 시절부터 미국으로 불법 조기 유학을 보냈다는 지적에 “아이들이 미국에서 공부하고 싶다는 뜻을 강력하게 희망했다. 워낙 의지가 강해 이기지 못하고 아이의 청을 들어준 것”이라고 해명했다. 중학생 자녀 유학은 현행법 위반이란 지적엔 “그게 불법인지조차 인지를 못 했다. 큰 실수”라고 말했다. 이 후보자의 차녀는 중학교 3학년 때 부모와 동행하지 않고 조기 유학을 떠나 초중등교육법상 국외 유학에 대한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법령은 부모와 동행 없는 초중등 조기 유학은 불법으로 규정했다. 현재는 부모 중 한 명을 동반한 조기 유학은 인정하고 있다.
이 후보자는 법정 수업일수(190일)가 며칠인지 묻는 국민의힘 정성국 의원의 질의에 “정확히 모르겠다”고 답했고,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은 “준비가 너무 안 돼 있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자는 40억 원대의 재산 형성 과정에 대해선 “부부 둘 다 교수다. 오로지 저축이고 주식도 산 적 없고, 집도 몇 채씩 산 적 없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자는 43억3006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