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급속도로 경색됐던 북한과 중국 양국이 올해 들어 관계 개선을 위한 물밑 소통에 나선 가운데 북한이 중국보다 관계 개선에 적극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의 이 같은 움직임은 향후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에 따른 동북아시아 정세 변화를 준비하는 차원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보당국은 북-중 양국이 연초부터 관계 개선의 물꼬를 트기 위한 물밑 소통을 시도하는 동향을 포착해 주시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를 역대 두 번째 ‘북-중 우호의 해’로 지정해 놓고 폐막식도 열지 않는 등 경색됐던 양국 관계는 최근 관계 개선 시그널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주중 북한대사관과 주북 중국대사관은 각각 1월 26일과 지난달 1일 양국 관료들이 참석한 가운데 신년 연회를 개최했다. 지난달 18일엔 박명호 북한 외무성 부상(차관급)이 주북 중국대사관을 방문해 왕야쥔(王亞軍) 대사를 만났다. 박명호는 이 자리에서 “올해는 조선노동당 창건 80주년이자 8차 당대회가 내놓은 5개년 계획의 마지막 해이고 중국 14차 5개년 계획의 마지막 해”라며 “조중(북-중) 양국 사회주의 건설이 끊임없이 새롭고 더 큰 성취를 거두기를 기대하고 양국이 교류협력을 강화해 조중 관계가 더 높은 단계로 올라서도록 추동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다만 관계 개선에 더 적극적인 건 북한이라고 한다. 대북 소식통은 “2년 넘게 이어진 북-러 협력이 우크라이나 종전 등에 따라 변화할 가능성을 북한이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 대중 무역 의존도가 높은 북한이 중국과의 밀착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가정보원도 “북-중이 당국 간 접촉면을 넓히고 있어 북-중 관계 경색 상황이 변화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면서도 “북한은 관계 복원에 적극적이나 중국의 움직임은 아직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북-중 간 고위급 왕래 등 교류에 대한 합의도 아직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개발하고 있는 백두산 일대 삼지연 관광지구 (평양 노동신문=뉴스1) 중국인의 북한 단체 관광도 아직 재개되지 않고 있다. 이 역시 외화벌이를 위해 규모가 큰 중국인 단체 관광을 원하는 북한과 달리 중국 당국이 이를 허가하고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달 베이징의 한 여행사가 중국인을 대상으로 모집한 나선 3박 4일 관광 프로그램은 출발 당일 돌연 무산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