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워싱턴=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오해라고 확신한다.”
25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국 새 정부가 교회를 압수수색하고 미군기지에서 정보를 수집했다고 들었다”고 했다가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의 설명을 듣고 이 같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서) 숙청 또는 혁명 일어나는 상황 같다”고 했던 인식은 오해가 풀리면서 해프닝으로 마무리됐지만 채 상병 특별검사팀의 극동방송 이사장인 김장환 목사와 이영훈 여의도순복음교회 목사 압수수색 등 수사상황이 한미 정상회담의 리스크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도 전방위적 수습에 나서며 당과 역할 분담을 했던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27일 여권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관세협상과 한미 정상회담 성사 등을 위해 7월 이영훈 여의도순복음교회 목사 등 교계에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목사는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의 두 차례 방한 때 안내를 맡는 등 트럼프 일가와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대통령실 관계자가 두 목사에게 도움을 요청한 지 며칠 뒤인 지난달 18일 채 상병 특검팀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에 대한 ‘구명 로비’ 의혹과 관련해 김, 이 목사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특검팀의 압수수색 계획을 사전에 몰랐던 대통령실도 당황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친(親)트럼프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 일부 인사들이 이 대통령에 대해 ‘친중·반미’라는 주장하고 6·3대선 부정선거를 주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정부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가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이 이례적으로 한미 정상회담 기간 미국을 방문한 것도 이 같은 사건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마가 진영의 음모론과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과의 핫라인 구축에 나선 것이다. 강 실장은 정상회담 당일 오전 10시 30분부터 40분간 와일스 비서실장을 만나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 문제에 대한 정확한 사실관계를 다시 보고해달라”고 요청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오해가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민주당도 대통령실과 협의 끝에 수습에 나섰다. 두 목사에 대한 압수수색 직후 특검 수사에 절제가 필요하다는 공개 메시지를 당이 내기로 역할 분담을 한 것이다. 이에 지난달 20일 당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을 겸직하고 있던 박상혁 원대소통수석부대표는 논평을 통해 “한 치의 의혹도 남김없이 진상을 명확히 규명하기 위한 특검의 수사 의지를 지지한다”면서도 “다만 종교인과 종교시설에 대한 수사는 각별히 절제된 모습이어야 한다”고 세심한 수사를 당부했다. 그러자 일부 강성 지지층에선 “극우 목사를 비호하냐”며 거세게 항의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물론 당정대가 한 몸으로 움직인 끝에 ‘교회 급습’설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인식을 바꿀 수 있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채 상병 특검팀의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26일 김, 이 목사에 대한 압수수색과 관련해 “영장을 청구하면서 압수수색 필요성을 법원에 소명했고, 법원이 필요성을 인정해 발부한 것이다. 집행 과정에서 법에 정한 절차를 위반한 점은 없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