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수업이 본격적으로 재개된 가운데 정부와 각 의대가 의대 학칙 개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의대 교육 현장에서는 교육 질 저하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6일 교육계에 따르면 의대 운영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교육부는 함께 의대생 복귀 및 운영 교육 지침을 최근 마련했다. 지난달 25일 교육부는 내년에 24, 25, 26학번이 동시에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을 피하기 위해 출석 일수가 모자란 의대생을 2학기부터 복귀시켜 정상적으로 진급시키기로 한 바 있다.
이번 지침에는 계절학기 최대 이수 학점을 늘리는 내용 등이 담겼다. 기존에는 최대 6학점까지 들을 수 있었는데 이를 12학점으로 늘리기로 했다. 공통된 학칙 개정 지침이 마련된 만큼 각 대학은 여건에 맞게 학칙 개정 작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의대 교육 현장에서는 특히 지방 의대를 중심으로 부실 교육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의정 갈등 장기화 과정에서 지방 의대 필수의료 과목 교수들 중 사직한 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의대 교수들은 환자 진료와 의대 수업이 겹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수도권의 한 의대 학장은 “의사 수가 부족한 진료과에서 당장 중환자가 생기면 학생 교육은 우선순위가 될 수 없고 수업이 파행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 국립대 의대 교수는 “1년 전부터 진료 예약이 잡혀있기 때문에 갑자기 방학 등에 잡힌 학생 교육을 다 소화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