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경총,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재단에 1억 기부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5월 21일 03시 00분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가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1억 원을 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동아일보 DB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1억 원을 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초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총 30억 원을 기부한지 한 달여 만에 경제단체가 잇따라 강제징용 피해자 및 유족들을 위한 변제금 마련에 나선 것이다.

20일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경총은 13일 재단에 1억 원을 기부하면서 강제징용 피해자와 유족들에 대한 배상 변제로 써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기부는 지난달 초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각각 15억 원씩을 기부한 이후 처음이다.

재단은 일본 기업을 상대로 강제징용 피해 배상 소송에서 승소한 피해자들에게 일본 피고 기업을 대신해 판결금과 지연이자를 지급하는 ‘제3자 변제’를 수행하고 있다. ‘제3자 변제’는 2023년 3월 윤석열 정부가 강제징용 배상 판결로 인한 한·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피고 기업이 아닌 한일 양국의 기업과 단체의 자발적 기부로 재원을 마련해 배상금을 대신 지급하도록 한 방안이다.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사무실 앞.                                                                                  송은석 기자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사무실 앞. 송은석 기자

20일 현재 경총의 기부로 피해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가용할 수 있는 현금은 37억 원으로 늘어났다. 현재 확정판결을 받은 이들에게 지급할 변제금이 총 96억 원인데 이중 59억 원이 추가로 필요한 상황이다. 이달 기준 제3자 변제로 배상금을 수령한 피해자는 2018년 승소한 15명 중 14명(나머지 1명은 법원에 공탁)과, 2023년 말과 지난해 1월에 걸쳐 승소 판결을 받은 52명 중 생존 피해자 8명을 합해 모두 22명이다. 아직 피해자 44명이 배상금 수령을 기다리고 있다.

재원 고갈 위기에 놓였던 재단은 올해 1월 말 행정안전부에 기부금품 모집 등록을 마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그간 기업 및 단체의 자발적 기부로만 의존했던 재원 마련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두 차례에 걸쳐 총 60억 원을 기부한 포스코 외에 한국수자원공사, KT, KT&G, 한국도로공사 등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 수혜기업 나머지 15곳의 기부 참여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