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모집 산부인과 등 8개 전공
대구 수련병원 소아청소년과 0명
전체 인원은 의정갈등전 76% 복귀
의대 정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사직 전공의 상당수가 업무 현장에 복귀한 1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에 의료진이 지나가고 있다. 동아DB
올해 하반기 전공의(인턴, 레지던트) 모집에서 5대 대형병원(서울아산, 서울대, 삼성서울, 세브란스, 서울성모병원)은 필수의료 분야 전공의를 대부분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수의료는 외과, 응급의학과, 산부인과 등 꼭 필요한 분야다. 지방 일부 필수의료과는 전공의 합격자가 아예 없었다.
7일 보건복지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5대 대형병원 전공의 전체 모집인원은 3150명으로 합격자는 2180명(69.2%)에 그쳤다. 이들 병원 소속 8개 필수의료 전공은 1273명을 모집했으나 합격자는 804명에 그쳤다. 소아청소년과는 모집인원 204명 중 74명(36.2%)이 합격했고, 심장혈관흉부외과는 79명 중 30명(37.9%)이 붙었다. 산부인과는 180명 중 119명(66.1%), 응급의학과는 114명 중 46명(40.3%), 외과는 171명 중 101명(59%)이 합격했다.
지방 필수의료에서는 전공의 지원율이 더 낮아졌다. 대구 지역 수련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61명을 모집했지만 합격자를 찾지 못했다. 전북 지역 수련병원에서는 산부인과 전공의 16명을 모집했지만 3명이 합격했다. 충북, 충남, 강원 지역은 각각 34명의 외과 전공의를 모집했지만 아무도 붙지 않았다. 박재찬 경북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전공의가 전임의, 교수가 되면서 병원에 남는 구조인데 지역에서 머물 이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꼴”이라고 말했다.
이번 하반기 모집에서 복귀한 전공의는 7984명이다. 이미 수련 중인 전공의를 포함한 올해 하반기 전체 전공의는 1만305명으로 의정갈등 전 대비 76.2%가 복귀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실에 복지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지난해 6467명에서 올해 7월 6438명으로 줄었다. 2013년 5051명이던 소청과 전문의는 매년 100∼200명 증가해 2021년 6000명을 넘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