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당사 3차 압수수색 대치 김건희 특검 관계자들이 18일 국민의힘 당원 명부를 확보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 압수수색을 시도하던 중 국민의힘 관계자들과 대치하고 있다. 특검은 지난달 13일과 18일에도 전산 자료 제출 협조를 요청했지만 국민의힘이 반발하면서 무산됐다. 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김건희 특검(특별검사 민중기)이 통일교 현안 청탁 의혹의 정점으로 지목받고 있는 통일교 한학자 총재(82)에 대해 18일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통일교 관련 수사가 분수령을 맞게 됐다. 한 총재는 전날 특검에 나와 조사받을 당시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에게는 세뱃돈을 준 것”이라는 취지로 진술했지만 거액의 불법 정치자금 지원 의혹에 대해선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 한학자 “권성동에게 세뱃돈 줬을 뿐”
특검은 한 총재에 대해 정치자금법 위반, 청탁금지법 위반, 증거인멸 교사, 업무상 횡령 등 총 4개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박상진 특검보는 이날 “한 총재는 조사에서 대체로 혐의를 부인하고 있고 증거인멸 우려가 상당히 농후하다고 판단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며 “한 총재와 비서실장 정모 씨는 혐의 상당 부분에서 공모를 했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특검은 정 씨에 대해서도 같은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들의 구속영장실질심사는 22일 오후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다.
특검은 특히 한 총재가 권 의원(구속)을 만났을 당시 쇼핑백을 건네며 추가로 불법 정치자금을 준 게 아닌지 확인하고 있다. 특검은 2022년 2∼3월경 경기 가평군 통일교 본부에 권 의원이 두 차례 찾아가 한 총재에게 큰절하고 금품이 든 쇼핑백을 받아 간 정황을 포착했다. 특검은 앞서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구속 기소)이 권 의원에게 건넨 1억 원 외에 추가 정치자금이 전달됐는지 등도 수사 중이다.
이와 관련해 한 총재는 17일 서울 종로구에 있는 특검 사무실로 나와 9시간가량 조사받으며 권 의원과 두 차례 만난 사실은 인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한 총재는 “권 의원에게 소액의 세뱃돈은 줬다”며 거액의 불법 정치자금을 제공한 것은 아니라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권 의원은 구속 전 특검 조사에서 “(쇼핑백에는) 넥타이가 들어 있었다”며 금품 수수 의혹을 전면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권 의원을 구속 이후 처음으로 불러 18일 추가 조사를 벌이며 추가로 받은 금품은 없는지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총재는 특검 조사 당시 자신을 ‘참어머님’ ‘독생녀’라고 부르며 “내 가르침을 받은 인물이 국가를 이끌어야 한다”는 취지로 여러 차례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윤 전 본부장 공소장에 ‘통일교가 정교일치 이념에 따라 국가 지도자를 물색해 왔다’고 적시했다.
● 국민의힘 당사 세 번째 압수수색 나서
특검은 이날 오전 통일교 교인 명단과 국민의힘 당원 명부를 대조하기 위해 국민의힘 당사에 대한 3차 압수수색에 나섰다. 국민의힘이 거세게 반발하면서 특검은 당사 인근 당원 명부 데이터베이스(DB) 관리 업체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앞서 특검은 지난달 13일과 18일 두 차례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국민의힘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특검은 통일교가 2023년 3월 국민의힘 대표 선거에서 특정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교인들을 조직적으로 동원해 국민의힘 당원으로 가입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특검은 이날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기록을 토대로 통일교인이 당원으로 언제 얼마나 가입했는지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특검은 수사 과정에서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둔 2022년 11월 윤 전 본부장이 ‘건진법사’ 전성배 씨(구속 기소)에게 ‘전당대회에 어느 정도 필요한가요’라고 보낸 문자메시지를 비롯해 전 씨가 ‘3개월 이상 당비 납부한 권리당원 1만 명 이상을 동원하라’는 취지로 보낸 문자메시지 등을 확보해 수사를 이어 가고 있다. 특검은 이번 압수수색 영장에 이러한 취지로 통일교 교인의 국민의힘 당원 가입 여부를 확인해야 할 필요성 등을 기재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은 이날 김 여사의 ‘종묘 차담회’ 의혹 사건과 관련해 유경옥 전 대통령실 행정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특검은 김 여사가 지난해 9월 3일 서울 종묘 망묘루에서 외부인들과 차담회를 하는 등 국가 유산을 사적으로 사용했다는 의혹에 대해 수사 중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