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기계 등 주력산업 큰 타격
국내 부가가치 10.6조 이상 손실
관세 영향 분석 대출심사에 반영
미국발 관세 전쟁으로 대미 수출이 13% 넘게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내 시중 은행들은 업종별·차주별 관세 영향을 분석하는 등 관리에 나섰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대미 수출이 종전보다 13% 이상 감소하고, 국내 부가가치 손실 규모가 10조6000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하나은행은 “수출 기업 실적 악화 외에도 환율 변동성에 의한 수입물가 상승, 산업 전반에 걸친 수익성 저하에 따른 신용위험 증가로, 전 은행 차원의 연체 및 부실 자산 관리 강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도 25% 관세 부과 시 대(對)미국 수출이 12.8%, 전체 수출이 4.6%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소는 자동차(―18.6%), 일반기계(―39.7%) 등 주력산업 대부분 작년 말 대비 큰 폭으로 대미 수출이 감소하고, 반도체도 대미 수출 증가율이 1.01%로 둔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KB국민은행은 트럼프 관세 정책 영향 분석 결과 수출 의존도와 대미 수출 비중에 따라 다르지만 산업별로 평균 1∼2%, 최대 4% 영업이익률이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산업연구원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10%, 중국에 60%, 한국을 포함한 그 외 국가들에 20%의 관세를 부과한다면 대미 수출이 13.1%까지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이는 미국이 관세 조치를 발표하기 전에 나온 보고서로, 실제 발표된 25% 관세에 따른 수치는 예상보다 더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주요 은행들은 관세로 인한 리스크를 점검하고 있다. 특히 수출입 기업 등 산업 전반에 걸친 기업대출 부실 위험이 커짐에 따라 은행들은 업종별·차주별 관세 영향을 분석 중이다.
하나은행은 위험에 직접 노출된 2차전지 산업 등을 중점관리업종에 편입하는 등 은행 포트폴리오에서 관련 여신 집중도를 완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민은행도 대미 수출이나 판매 비중이 크고, 현재 생산능력 확보 능력이 취약한 산업을 중심으로 리스크 수준을 파악 중이다. 국민은행은 수출 감소 영향과 재무적 대응 능력을 고려해 관세 부과 영향도를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으로 나눠 모니터링하고 상반기 말 정기 산업 등급 평가에 반영할 예정이다.
IBK기업은행은 지난달 ‘관세 영향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차주별 영향 정도를 분류하고, 시나리오별 대응책 보유 여부를 점검하고 있다. NH농협은행도 중점 관리 대상 여신을 선정해 기업 여신 부실 징후에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