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달린 비트코인]
11만달러대 진입 5일만에 새 기록… 美의회 ‘가상화폐 3법’ 처리 기대감
두달간 기업-기관투자 21조원 몰려… 이더리움 가격도 3000달러 넘어
“각국 제도 허용땐 추가 상승 여력”
14일 서울 강남구 업비트 고객센터에서 한 고객이 전광판에 표시된 비트코인 시세를 가리키고 있다. 가상자산 정보 업체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비트코인은 장중 12만2000달러를 넘기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9일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지던 11만 달러를 넘긴 후 5일 만이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비트코인이 장중 사상 처음으로 12만 달러를 돌파하며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에 대한 시장의 낙관론이 확산되고, 미국 의회가 가상자산 관련 법안을 대거 처리하는 ‘가상화폐 주간(Crypto Week)’이 시작되자 뭉칫돈이 코인에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1월 미국이 현물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를 허용하면서 기관들의 장기 투자 자금까지 코인 ETF에 쏠려 가상화폐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
● 두 달간 기업-기관 뭉칫돈 20.8조
14일 가상자산 정보 업체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오후 5시 30분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3.98% 상승한 12만2564.07달러에 거래됐다. 이날 장중 12만3091.61달러까지 올랐다. 9일 11만 달러대로 접어든 이후 5일 만에 12만 달러를 돌파한 것이다.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도 3029.23달러(2.35%)로 3000달러 위로 올라섰다. 이더리움이 3000달러를 넘긴 것은 2월 1일 이후 처음이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의 상승세는 기업과 기관이 이끌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일본의 비트코인 보유 상장사 메타플래닛이 비트코인 797개를 추가 매입하는 등 글로벌 기업들의 비트코인 매수가 눈에 띄게 늘었다. 기업, 기관이 참여하며 비트코인 ETF에 특히 뭉칫돈이 몰리고 있다. CNBC에 따르면 이달 10일 하루 동안 비트코인 ETF에만 올 들어 최대치인 11억8000만 달러(약 1조6000억 원)가 유입됐다. 최근 6∼8주 동안 기업과 기관투자가들은 비트코인 ETF를 150억 달러(약 20조8000억 원)어치 매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기업 기관 할 것 없이 가상화폐에 뭉칫돈이 쏠리는 가장 큰 배경으로 가상화폐 ETF 활성화와 더불어 트럼프 행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꼽힌다. 미 의회는 이번 주를 가상화폐 관련 법안을 집중 처리하는 가상화폐 주간으로 정하고 △클래리티 법(CLARITY Act)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감시국가 방지법(Anti-CBDC Surveillance State Act) △지니어스 법(GENIUS Act) 등 3건의 관련 법안에 대한 입법을 마무리 짓겠다고 밝혔다.
달러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를 정비해 민간 참여를 확대하고, 디지털 자산의 개념을 명확히 하며 규제 당국을 지정하는 내용으로 가상화폐 업계가 요구해 온 법안들이다. 합법과 불법의 테두리를 분명히 해야 기업과 기관이 장기 투자에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서비스 기업 맨틀의 팀 첸 글로벌 전략책임자는 파이낸셜타임스(FT)에 “자본 (투자)를 배분하는 입장에서 규제의 명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민간 기업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을 담은 ‘지니어스 법’은 이미 상원을 통과해 빠르면 15일 하원 본회의에서 가결될 것으로 보인다. 하원 통과 직후 트럼프 대통령이 곧바로 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 트럼프 관세 변동성은 여전
전문가들은 글로벌 기업들과 비트코인 ETF의 매수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가상자산 대출업체 레든의 존 글로버 최고경영자(CEO)는 코인데스크를 통해 “올해 말까지 13만60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 가상화폐 법안이 모두 통과되면 아직까지 큰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 않은 개인투자자들의 매수세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아시아 최대 가상자산 헤지펀드를 운용하는 오상록 하이퍼리즘 대표는 “올해에만 500억 달러 이상이 비트코인 ETF로 유입됐다. 대기업들이 매수해 비트코인 공급 감소 구조가 강화되고 있다”며 “다만 현재 개인투자자들의 자금 유입은 상대적으로 미미한데 이는 ‘이미 너무 올라 투자할 수 없다’는 불안심리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오 대표는 “향후 각국 제도 허용 확대로 개인투자자 등 추가 매수세가 유입되면 비트코인의 상승 여력이 더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그간 가격이 빠르게 오른 만큼 빠르게 내려갈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변동성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본적으로 위험 자산이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 향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보고 시장의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강해지고 있다”며 “다만 비트코인은 여전히 주식보다 가격 변동성이 높은 위험자산이므로 향후 도입될 현물 ETF 등 다양한 투자 대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