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베이징에서 하룻밤 사이 733번의 낙뢰가 내리친 후 이튿날 병원에 기침과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몰려들었다. 기사와 직접관련 없는 자료사진(게티이미지)
중국 베이징에서 하룻밤 사이 733번의 낙뢰가 내리친 후 이튿날 병원에 기침과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몰려들었다. ‘꽃가루 폭탄’이라 불리는 ‘뇌우 천식’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11일 시나파이낸스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지난 9일 밤 베이징에 갑작스러운 뇌우가 몰아쳐 경보가 발령됐다.
당일 밤 베이징 하늘에는 천둥번개가 쉴새 없이 내리쳤다. 10일 새벽까지 총 733건의 낙뢰가 관측됐다.
현지 주민은 “카메라 플래시 같은 불빛이 그칠 줄 모르고 터졌다”고 말했다.
■ 자던 아이 기침하며 숨 헐떡여
이날 새벽 아이가 갑자기 기침을 하며 숨을 헐떡였다는 부모의 증언도 이어졌다. 샤오린(가명·남)의 아버지는 “아이가 자다가 갑자기 기침을 하고 숨을 헐떡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다음날 병원을 찾아가자 응급실은 같은 증상으로 찾아온 환자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콧물 눈물을 흘리며 알레르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도 많았다.
또 다른 주민도 “한 밤중에 아이가 기침과 호흡곤란을 호소해 새벽 1시경에 병원으로 달려갔는데, 그곳에 많은 아이들이 비슷한 증상으로 몰려있었다”고 말했다.
한 주민은 “택배를 찾으러 나갔다가 심한 기침을 하기 시작했다. 폐까지 불편해져서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기사와 직접관련 없는 자료사진(게티이미지)
■ 벼락 맞은 꽃가루가 원인…‘뇌우 천식’이란?
원인은 이른바 ‘뇌우 천식’(Thunderstorm asthma)이다. 비구름에 섞여 있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꽃가루)이 벼락을 맞아 미세 입자로 부서지면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현상이다. ‘꽃가루 폭탄’이라고도 부른다.
보통 꽃가루는 코의 털에서 걸러지지만, 미세 조각은 그대로 호흡기로 들어가 심한 알레르기 반응과 천식을 유발할 수 있다.
2016년 11월, 호주 멜버른에서는 뇌우 천식으로 8500명 이상이 병원에 입원하고 10명이 숨졌다. 당시 구급차와 병원 시스템이 마비될 정도였다.
뇌우 천식은 1983년 7월 영국 버밍엄에서 처음 보고된 후 천식과 뇌우 사이에 강력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 천식 질환 없는 사람에게도 많이 나타나
특히 뇌우 천식은 기존 천식 환자뿐 아니라 평소 증세가 없던 사람에게도 나타난다는 점에서 위험하다. 연구 결과 환자의 95%가 꽃가루 알레르기 병력이 있었고, 천식 진단을 받은 적이 없는 경우도 다수였다.
이번에 베이징에서 병원을 찾은 환자들 역시 상당수가 천식 병력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환자들 중에는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결막염을 앓던 이들이 많았다.
현지의 한 종합병원 응급실 의사는 “많은 환자들이 처음으로 천식 발작을 경험했다”고 말했다.
의료계 관계자는“천식 병력이 있고 꽃가루와 곰팡이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뇌우 천식 고위험군에 속한다”며 “고위험군은 천둥 번개가 발생할 때 외출을 자제하고, 창문을 닫아 두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박태근 기자 ptk@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