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한국지사 출범 “韓, AI 혁신의 최적지… 적극 협력할 것”

  • 동아일보

코멘트

韓 소버린AI 참여 가능성 시사
“SK-삼성 등과 파트너십 고려”
서울대와 AI연구 MOU 체결도
AI기본법 규제엔 “함께 만들어갈것”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가 10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오픈AI코리아의 공식 출범을 발표하고 있다. 오픈AI 제공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가 10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오픈AI코리아의 공식 출범을 발표하고 있다. 오픈AI 제공
오픈AI가 한국 지사를 공식 출범하고 한국의 정부와 기업, 학계 등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정부의 소버린AI 의지와 기업들의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및 도입 속도를 고려할 때 한국의 시장성이 크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10일 오전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열린 오픈AI코리아 출범 기자간담회에 직접 나서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 혁신적인 기업, 빠른 디지털 도입 속도를 갖춘 AI 혁신의 최적지”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 지사는 아시아에서 싱가포르와 일본에 이어 세 번째, 세계적으로는 12번째 지사다.

오픈AI는 챗GPT 유료 구독자 수 세계 2위의 한국이 인프라와 기업, 소비자가 조화를 이루는 이른바 ‘풀스택’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고 보고 이번 지사 설립을 통해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 나갈 방침이다. 특히 한국 정부의 소버린AI 방침에 대한 협력 의지를 강조했다. 한국에서의 AI 데이터센터 투자나 정부의 국가 AI 컴퓨팅 센터 사업 참여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권 CSO는 가능성을 열어뒀다. 그는 “한국은 오픈AI에 있어 10위 안에 드는 시장이고, 구독자 측면에서도 중요한 시장”이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컴퓨팅 파트너십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상반기부터 국가 AI 컴퓨팅 센터 사업을 추진해 왔지만 두 차례 유찰됐다. 이후 정부는 공모 조건을 수정해 재입찰에 나선 상태다.

오픈AI는 현재 카카오와 올해 2월 전략적 제휴를 맺은 뒤 챗GPT와 카카오 생태계의 연동을 준비하고 있다. 권 CSO는 “(카카오와의 파트너십은) 긴 파트너십의 여정이고, 다양한 기능과 측면에서 협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또 GS, 토스, LG전자 등 한국 유수의 기업들과 기술 협력을 이어 오고 있다며 추가로 다양한 파트너십을 모색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그는 “데이터센터, 하드웨어 반도체 협력 등도 파트너십을 맺을 수 있고, (이와 관련해) SK나 삼성 등과의 파트너십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오픈AI는 한국 학계와의 연구 협력도 본격화할 방침이다. 우선 11일 서울대와 양해각서(MOU) 체결을 앞두고 있다. 권 CSO는 “어떻게 하면 좋은 AI 연구에서 상호 협력할 수 있을지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AI 기본법 등 규제에 대해서는 준비돼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정부의 규제나 입법과 관련해서도 오픈AI는 좋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함께 만들어 가는 역할을 하고자 한다”며 “프라이버시, 보안, 안전 같은 분야도 수년간 선제적으로 기술을 발전시켜 온 부분”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서 오픈AI코리아의 지사장 선임과 관련된 질문에 권 CSO는 “곧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뚜렷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인력 채용 규모 등에 대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단계적으로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소버린AI#오픈AI#오픈AI 한국지사#제이슨 권#챗GPT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