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장택동]대선 후보교체 ‘심야 막장극’에 면죄부 준 국힘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11일 23시 21분


코멘트
5월 3일부터 1주일간 국민의힘에선 ‘대선 후보 강제 교체’라는 한국 정당사상 전무후무한 일이 벌어졌다. 극심한 혼란과 갈등이 빚어졌고,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불법 비상계엄으로 이미 치명상을 입은 국민의힘으로선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 이 사태를 조사한 당 감사위원회는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양수 전 사무총장에 대해 당원권 3년 정지의 중징계를 청구했다. 그런데 당 중앙윤리위원회는 11일 두 사람을 징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윤리위는 “두 사람이 자의적·독단적으로 (후보 교체 시도를) 했다고 볼 수 없다”고 했다. 비대위 회의 등을 거쳤으니 두 사람에게만 책임을 물을 순 없다는 것이다. 나아가 여상원 윤리위원장은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을 그 자리에 있었으니 한 것”이라고 옹호했다. 이런 논리라면 당 지도부는 권한만 있고 책임은 없는 자리가 된다. 여 위원장은 권 전 위원장이 임명했고, 권 전 위원장과 서울대 법대 동기라는 점을 감안해도 팔이 안으로 너무 굽었다.

▷후보 교체 시도는 처음부터 끝까지 비정상의 연속이었다. 김문수 후보가 선출된 직후부터 당 지도부는 한덕수 전 총리와 빨리 단일화하라고 압박했다. 두 사람의 회동이 성과 없이 끝나자 당 지도부는 누구를 선호하는지를 묻는 여론조사를 강행한 뒤 김 전 후보의 자격을 박탈했다. 물론 후보 경선 당시 단일화를 약속했던 김 전 후보가 시간을 끌면서 분란의 단초를 제공한 측면은 있다. 그렇다고 민주적 절차를 거쳐 뽑은 대선 후보를 이런 식으로 끌어내리는 정당이 세상에 어딨나.

▷막장극의 끝판은 5월 10일 오전 2시 반에 ‘오전 3시부터 4시까지 후보 신청을 받는다’고 공고한 것이다. 미리 준비하지 않는 한 꼭두새벽에 1시간 만에 32종류나 되는 서류를 챙겨 후보 신청을 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누가 봐도 한 전 총리 한 사람을 위한 것이었는데, 윤리위는 11일 “전혀 그렇지 않은 것 같다”는 억지 해석을 내놓았다. 다음 날 후보 교체 찬반을 물은 당원 투표에서 부결되면서 이 사태는 막을 내렸다. ‘한덕수 후보로의 변경에 찬성하느냐’며 가결을 유도하는 듯한 질문까지 했는데도 평당원들은 반대표를 더 던졌다.

▷6·3대선이 채 한 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 벌어진 후보 교체 파동으로 국민의힘은 대선 레이스를 펼치기도 전에 진이 빠져 버렸다. 당 안팎에서 “심야 쿠데타” “제2의 비상계엄”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최소한의 상식이 통하는 정당이라면 그 중심에 섰던 이들에게 응분의 책임을 묻는 것이 당연하다. 그런데도 7월 안철수 의원이 혁신위원장을 맡으면서 권 전 위원장 등의 출당을 요구했을 땐 당 지도부가 거부했고, 이번엔 당 윤리위가 막아 섰다. 민심과 거꾸로 가기로 일부러 작정을 하지 않고서야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지 의문이다.

#국민의힘#대선 후보 교체#권영세#이양수#윤리위원회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