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원 강릉시 성산면 오봉저수지를 방문해 가뭄 대응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현재 강릉에서는 생활용수 부족으로 공공화장실이 폐쇄되는 등 급수 제한이 시작됐다. 대통령실은 강릉 상황에 대해 “초·중·고교의 단축수업이나 휴교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당분간 강릉 지역에 강수 전망도 없어 그 피해가 장기화될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원 강릉시 성산면 오봉저수지를 방문해 가뭄 대응 추진 상황을 점검한 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과 함께 이동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주민 불편을 청취한 뒤 즉각적인 재난사태 선포와 함께 국가소방동원령 발령을 지시했다. 정부는 소방 탱크 차량 50대를 지원해 하루 약 2000톤을 추가 급수할 수 있도록 조치할 방침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원도 강릉시 강릉시청을 찾아 가뭄 대책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강릉 지역의 급수난 해소를 위해 전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장단기 대책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했다. 그러면서 “행정안전부 장관이 중심이 돼 신속히 대책을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경포대 횟집 거리의 상가도 방문했다. 이 대통령은 횟집 상인에게 “가뭄 때문에 물 공급은 잘되나? 장사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는 않느냐?”라고 물었고, 횟집 상인은 “아직까지 급수 제한으로 장사에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손님들이 가뭄인데 놀러오기가 미안하다고 한다. 앞으로가 걱정이고 불안하다. 잘 해결해 달라”고 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재난사태 선포를 지시했다. 최선을 다해 대책을 세우겠다”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원 강릉시 경포대 인근 음식점을 찾아 가뭄으로 인한 피해 상황을 청취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앞서 강원도는 29일 강릉 일대를 재난사태 지역으로 선포해달라고 정부에 건의했다. 재난사태는 재난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포되는 긴급 조치다. 재난사태로 선포되면 인력‧장비‧물자 동원, 응급 지원, 공무원 비상 소집 등의 조치와 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뤄지게 된다.
강원도에 따르면 지금까지 재난사태가 선포된 사례는 2005년 5월 강원 양양 산불, 2007년 12월 충남 태안 기름유출 사고, 2019년 4월 강원 동해안 산불, 2022년 3월 경북 울진‧삼척 산불 등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