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속된 통일교 前간부… 세번째 조사 출석하는 이종호
김건희 여사에게 청탁 목적으로 명품 가방과 목걸이를 건넨 혐의로 30일 오후 구속된 윤모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이 이날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마치고 법원을 나서고 있다(위쪽 사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가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의 공범에게 재판 형량을 줄여 달라는 청탁을 받은 혐의로 세 번째 조사를 받기 위해 종로구 김건희 특검팀 사무실로 향하고 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뉴시스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및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채 상병 특검(특별검사 이명현)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사용했던 비화폰 통신 기록 확보에 나섰다고 30일 밝혔다. 특검은 그동안 대통령 부인에겐 지급되지 않았던 비화폰을 김 여사가 사용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경호처는 “내부 규정에 따라 지급한 것”이라고 했지만, 국가 안보와 관련된 사안을 다루는 소수 인원에게만 지급되는 비화폰을 김 여사가 사용한 건 이례적이라는 게 특검의 시각이다.
특검은 김 여사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에 관여했을 것으로 의심하며 비화폰 기록 확보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 “김 여사, 구명 로비 의혹 정점 가능성”
특검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서 김 여사 계좌를 관리했던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가 임 전 사단장 구명을 위해 “내가 VIP(윤 전 대통령)한테 얘기하겠다”고 지인에게 말한 내용이 담긴 녹취록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부터 넘겨받아 구명 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특검은 비화폰 기록을 토대로 김 여사가 이 전 대표와 어떤 통화 내용을 주고받았는지 등을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도 김 여사의 비화폰 사용에 의문을 제기한다. 윤석열 정부 이전엔 대통령 부인이 비화폰을 상시적으로 사용한 경우가 거의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정치권 인사는 “영부인이 국가 안보와 관련된 비화폰을 쓴다는 것은, 바꿔 말하면 국정에 개입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했다. 김 여사에게 비화폰을 지급한 이유에 대해 지난달 11일 대통령경호처는 “비화폰은 국가정보원의 ‘국가정보보안 기본 지침’ 등을 근거로 한 대통령경호처의 내부 규정에 따라 관리되고 있다”며 “김 여사에 대해서는 관련 내부 규정에 따라 제공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김 여사에게 지급된 비화폰은 카카오톡이나 텔레그램 등은 사용할 수 없고 송수신 통화와 문자메시지 발송만 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여사의 비화폰 기록이 판도라의 상자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 여사의 비화폰 기록에 대해 윤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 등을 수사 중인 김건희 특검(특별검사 민중기)도 압수수색에 나설 수 있어서다. 지난해 7월 김 여사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과 디올백 수수 사건으로 검찰 출장 조사를 받기 전 김주현 전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과 30분 넘게 비화폰으로 통화한 사실이 드러났다.
또, 김 전 수석이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 의혹이 불거졌던 지난해 10월 당시 심우정 전 검찰총장과 비화폰으로 2차례 통화하기도 했는데, 이와 관련한 김 여사의 비화폰 기록이 추가로 확인되면 파장이 커질 수 있다. 한 검찰 출신 변호사는 “특검이 임 전 사단장 구명 로비의 정점으로 김 여사를 의심하며 수사망을 좁히고 있는 것”이라며 “윤 전 대통령의 수사 외압 사건은 실체가 드러나고 있는 만큼 앞으론 구명 로비와 관련한 수사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 조태용·이종섭 등 20여 명 비화폰 기록 확보 중
특검은 윤 전 대통령과 김 여사뿐만 아니라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임 전 사단장 등 20여 명에 대한 비화폰 통신 기록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았다고 한다. 채 상병 순직 사건이 벌어지고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에 외압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2023년 7∼8월에 걸쳐 약 한 달간의 기록이다. 이에 특검은 지난주부터 비화폰 서버를 관리하는 대통령경호처와 협의하며 이들의 비화폰 통신 기록을 확보하는 중이다.
앞서 채 상병 순직 수사 외압 사건을 수사했던 공수처도 대통령경호처에 대해 비화폰 서버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고 수차례 기록 확보를 시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대통령경호처는 공수처 수사에 온전히 협조하지 않아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비화폰의 5일 치 통신 기록만 내어줬다고 한다. 현재 대통령경호처는 특검의 수사에 협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 관계자는 “영장이 발부된 인물들에 대한 기록은 온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에 영장이 발부된 20여 명이 모두 비화폰을 사용했는지는 불분명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