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인의 노후준비 점수는 69.9점으로 나타났다. 노후를 위한 재정상태 준비는 개선됐지만 대인관계가 좁아지면서 재무분야 외에 대인관계, 건강 등에 대한 노후준비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보건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제3차 노후준비 지원 기본계획(2026~2030년) 수립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노후준비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은 노후준비기본법에 따라 국민이 스스로 노후를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5년마다 수립해 시행하는 법정 중장기 계획이다.
이날 토론회에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한국인의 노후준비 수준에 대한 지난해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을 공개했다. 지난해 대인관계, 건강, 여가, 재무 등을 고려한 한국인의 노후준비수준은 100점 만점에 69.9점으로 나타나 2019년 조사(67.5점)보다 개선됐다. 연구진은 지난해 8, 9월 전국 30~69세 성인 3040명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했다.
최근 5년 동안 재무 분야의 노후 준비는 7.3점 증가하면서 개선됐지만, 대인관계는 2.4점 감소해 악화됐다. 연구진은 가구규모가 축소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면서 대인관계가 좁은 유형이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건강과 여가 분야는 각각 0.4점, 0.7점 증가하는 데 그쳤다. 건강 분야는 코로나19 기간 활동 저하, 서구화된 식습관의 영향으로 개선이 더딘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지난해 노후준비 점수를 바탕으로 3차 기본계획 수립 시 비대면 기반 진단이나 상담 등 인공지능(AI) 등을 이용한 온라인 노후준비 시스템을 도입하고, 광역·지역 노후준비지원센터를 확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건강, 여가, 대인관계등 비재무 분야의 노후준비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변화하는 가족 형태와 대인관계에 대응한 상담 전략이 필요하며, 코로나19 이후 정신건강 진단 또는 상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연구진은 생애주기별 노후준비 교육을 제도화 하고, 1인 고령가구를 위한 식사, 취미 등 맞춤형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