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 CHA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가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있다. 뉴시스.
한국의 출생아 수가 11개월째 증가세다. 정책적 지원 덕에 결혼이 늘면서 본격적으로 출생아 수 증가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5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올 5월 출생한 아이는 1년 전보다 741명(3.8%) 늘어난 2만30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5월(2만1922명) 이후 역대 5월 중 4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증가율은 2011년 5월(5.3%)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았다. 증가 폭은 2015년 5월(785명) 이후 10년 만에 가장 많았다.
특히 올해 5월까지 누적 출생아 수는 10만6048명으로 기록해 10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6.9% 늘어난 것으로 1981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부터 11개월 연속해서 늘고 있다. 5월 합계 출산율은 0.75명으로 여전히 1.0명 미만이지만, 1년 전보다 0.02명 늘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이 가임 기간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다.
출생아 수가 올해 들어 계속 늘고 있는 건 혼인 증가와 30대 초반 여성의 인구 증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출산 지원 정책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5월 혼인 건수는 1년 전보다 840건(4.0%) 증가한 2만1761건이었고 2019년 5월(2만3045건) 이후 6년 만에 가장 많았다.
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