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와 정부 믿고 전원 복귀” 선언
“질적 하락-총량 감소 없이 배울것”… 복귀시점 없이 ‘학사일정’ 대책 요구
‘최소 수업일수’ 등 놓고 진통 예상… 金총리 “큰 전진, 결실의 길 찾겠다”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왼쪽부터),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회 비상대책위원장,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 김영호 교육위원장이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2025.7.12 뉴스1
지난해 2월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1년 5개월 만에 ‘전원 복귀’를 선언했다. 의정 갈등 해결의 출구가 될 것이란 기대가 나오지만, 학사 일정 재조정과 특혜 논란 등 의대 교육 정상화까지는 큰 진통이 예상된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12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국회 교육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대한의사협회(의협)와 함께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입장문’을 내고 “국회와 정부를 믿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에선 구체적인 복귀 시점은 언급되지 않았다. 고려대 의대 본과 1학년인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은 “(정부, 학교 등) 여러 단위의 협조가 선행돼야 해 정확한 날짜를 말씀드릴 순 없다”고 했다. 다만 올해 유급되지 않으려면 고등교육법 시행령의 ‘매 학년도 수업일수 30주 이상’ 기준에 따라 이달 21일부터는 수업에 참여해야 하기 때문에 정부와 각 의대가 복귀 로드맵을 마련할 시간이 많지는 않다.
학사 유연화 요구가 지나친 특혜라는 비판을 의식한 듯 이 비대위원장은 “방학 등을 이용해 교육의 질적 하락이나 총량 감소 없이 제대로 교육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입장문에선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학사 일정 정상화를 통해 의대생이 교육에 복귀할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날 입장문 발표에 앞서 김택우 의협 회장은 “지난 1년 6개월간 국민 여러분께서 말할 수 없는 피로와 아픔을 견뎌 오셨다. 그 고통을 깊이 공감하며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 비대위원장은 “국민과 의료계 모두가 긴 고통을 겪은 것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했지만 ‘사과’를 언급하진 않았다.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 대표는 “환자와 국민을 협상 수단으로 삼았던 행위에 대한 반성과 사과는 없었다”고 비판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13일 페이스북에 “주술 같은 2000명 밀어붙이기의 고통이 너무 크고 깊었다”며 “큰 일보전진이 다행이다. (의료 정상화를 위한) 결실의 길을 찾겠다”고 썼다. 전공의(인턴, 레지던트)들은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여당 의원들을 만나 복귀 조건과 의료 정상화 방안 등을 논의한다.
댓글 0